'시민연구 멘토단'·'리빙랩' 등 시민참여형 사업
생활환경·재난안전·격차해소 연구에 295억원 투입
미래부, 사회 문제해결형 '시민연구사업' 본격 추진
'시민연구 멘토단'·'리빙랩' 등 시민참여형 사업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과학기술에 기반해 국민 생활과 밀접하게 연관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시민연구사업'이 본격 추진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시민연구사업에 총 295억원을 투입할 계획으로 이중 125억원은 신규과제에 투자하게 된다고 2일 밝혔다.
미래부는 2013년부터 암환자 치료비부담 경감, 초미세먼지 피해저감 등 사회문제해결형사업을 벌여왔고, 올해부터는 이를 ▲생활환경 ▲재난안전 ▲격차해소 분야로 체계를 정비해 '시민연구사업'이라는 명칭으로 확대·추진하기로 했다.
생활환경 분야에서는 아동·청소년 비만관리·식수원 녹조대응·초미세먼지 피해저감 등 국민 건강·환경과 관련된 이슈에 관한 기술개발이 중심이 된다.
올해 신규 과제로는 '환경호르몬 대체소재 및 배출저감공법 개발'이 추진된다.
재난안전 분야는 인적·사회적 재난 및 생활안전 분야에서 국민 불안을 경감하며 안전한 삶을 증진할 수 있는 소방 및 구조장비, 재난재해 예측 시뮬레이션 등에서 신규과제 2개를 발굴해 기술 개발을 해나가기로 했다.
격차해소 사업의 경우 노후주택 난방비 절감을 위한 친환경·고효율 단열재, 고령자 및 치매환자 부상을 방지하는 보호장치 등 취약계층을 위한 저가·양질의 제품·서비스 개발이 주된 내용이다. 10개 내외 신규 과제에 50억원이 투자된다.
시민연구사업은 전문가 집단의 기술 개발에만 그치지 않고, 시민이 문제 적용·해결과정에 직접 참여해 관련 기술을 체험·검증하는 단계가 추가됐다.
2∼3년 내 단기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사회정책·기술 전문가, 가치평가, 경영·마케팅, 벤처투자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시민연구 멘토단'이 상시 운영돼 관련 사업에 대한 조언에 나선다.
또 연구개발이나 실증과정에서 현장의 목소리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학·연·산·민이 공동으로 운영하는 '리빙랩'도 추진된다.
과학기술·인문사회 전문가, 시민사회, 기술 사용자 등이 평가위원으로 참여하는 '열린 평가단'도 운영된다.
이를 통해 일상 생활에서 기술 체험과 적용, 개선, 검증작업이 이뤄질 수 있도록 한다는 취지다.
이진규 미래부 연구개발정책관은 "과학기술을 기반으로 국내 문제해결을 추진하고, 단계적으로 우리의 문제 해결 모델을 개도국으로 수출해 외국의 문제해결에도 기여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