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 유해화학물질사업장 절반 기본방제장비 없어
경기硏 조사결과…성인 62.5% "우리사회 대비태세 개선 안 돼"
(수원=연합뉴스) 최찬흥 기자 = 경기지역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의 절반이 기본적인 방제장비를 갖추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4일 경기개발연구원이 지난해 8∼10월 도내 유해화학물질 사업장 805곳을 대상으로 실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49.6%(399곳)가 개인보호 장구·중화약품 등 기본적인 안전 및 방제장비를 구비하지 않았다.
또 잠금 및 보안시설을 설치하지 않은 사업장은 38.1%(307곳)에 달했고, 유독물 표기 및 안전표시를 하지 않은 사업장도 38.4%(309곳)나 됐다.
안전관리 책임자를 지정하고 있지 않은 사업장은 55.6%(448곳)로 절반이 넘었다.
유해화학물질 운반차량을 보유한 사업장 537곳 가운데 운반 업무자에 대한 안전교육을 하지 않은 사업장도 37.6%(202곳)에 이르렀다.
경기개발연구원이 지난달 전국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62.5%가 '구미 불산누출사고(2012년 9월, 5명 사망·16명 부상) 이후에도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우리 사회의 대비태세가 개선되지 않았다'고 답했다.
조사대상자의 56.0%는 '화학물질 누출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느낀다'고 했다.
김동영 경기개발연구원 생태환경연구실장은 "상당수 영세 사업장의 여전한 안전불감증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며 "사업장 안전진단과 위험등급별 맞춤관리 확대, 환경닥터제를 통한 영세사업장 지원 강화, 사업장의 화학물질 정보 공개 및 위험지도 작성 등에 역점을 두고 안전대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