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전방위 '사상통제'…일부 지식인 '반기'>(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04 16:05:35
  • -
  • +
  • 인쇄
교육·언론·종교·인터넷 통제…"문혁복귀냐" 반발

<중국 전방위 '사상통제'…일부 지식인 '반기'>(종합)

교육·언론·종교·인터넷 통제…"문혁복귀냐" 반발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의 '이데올로기 공작' 지침을 계기로 중국당국이 전 사회분야에 대한 사상통제 활동을 눈에 띄게 강화하기 시작했다.

특히 당국의 이런 동향에 지식인 사회를 중심으로 강한 반발여론도 감지되고 있어 앞으로 추이가 주목된다.

중국 국가인터넷판공실은 4일 '인터넷 계정 명칭 관리 규정'을 발표하고 앞으로 모든 단체와 일반인들이 사용하는 웨이보(微博, 중국판 트위터), 웨이신(微信·위챗) 등의 인터넷 계정 명칭을 규제하겠다고 밝혔다.

이 규정에 따르면 앞으로 모든 누리꾼은 국가안전 위협, 민족단결 저해, 공공질서 훼손, 국가명예 및 이익 훼손, 국가종교정책 파괴, 유언비어·포르노·도박·폭력·살해·테러 관련 정보 유포 등과 관련된 계정 명칭을 사용할 수 없다.

규제 대상에는 개인 프로필 사진과 프로필 문구 등도 포함된다.

중국 당국은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들에 대해서도 "인터넷 계정이 규정을 위반했을지를 심사해 위법하거나 불량한 정보는 신청 등록을 받지 말아야 한다"고 지시했다.

중국공산당의 당내 종교단속 수위도 강화되고 있다.

환구시보(環球時報)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가 2일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최근 저장(浙江)성 공산당위원회는 종교를 가진 사람의 공산당원 가입신청을 불허하겠다고 발표했다. 또 공산당원 신청자는 앞으로 마르크스주의 종교관을 교육받게 된다고 밝혔다.

이런 일련의 조치들은 올해 들어 전개되는 교육계, 언론계에 대한 '사상통제' 활동이 인터넷공간, 종교계 등으로 확산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위안구이런(袁貴仁) 중국 교육부장(장관)은 최근 대학의 사상교육을 강화하는 좌담회를 열고 서방 가치관을 전파하는 교재를 강의실에 가져오지 말라고 지시하며 논란을 일으켰다.

또 개혁성향 주간지 남방주말(南方周末)은 최근 중국의 혁명원로 천이(陳毅.작고)의 아들이 안방(安邦)보험그룹의 사실상의 '총수'라고 보도했다가 석연치 않은 '사과문'를 게재했고, 주요 뉴스포털사이트 '왕이'(網易·넷이즈)는 당국으로부터 유언비어 등 부적절한 정보를 유포한 잘못이 있다는 지적을 받았다.

일부 지식인과 누리꾼은 당국의 '사상통제'에 노골적인 반기를 들고 있다.

14만 명의 팔로워를 가진 판중신(范忠信) 항저우(杭州)사범대학 법학과 교수는 최근 웨이보(微博, 중국판 트위터)에서 교육당국의 서방 가치관 차단 요구에 "40여 년 전 덩샤오핑(鄧小平)이 개혁개방을 추진한 것은 사실상 서방 가치관에 대한 개방이었다. 서방 가치관을 부정하는 것은 결국 개혁개방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반발했다.

4일 현재 웨이보에서는 교육부장을 성토하는 이같은 글을 적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상당수가 판 교수처럼 웨이보에서 영향력 있는 글을 쓰는 교수와 지식인 블로거들이다.

한 블로거는 모든 문과대학 문을 닫아 서방문화를 철저히 없애고, 전국적으로 통일된 국학대학을 설립하고, 수학과·화학과를 없애는 대신 '조충지(위진남북조 시대 수학자) 대학'을 만들자는 내용의 '대학교육 3대 개혁방안'을 제안하며 교육부장을 조롱했다.

그러나 중국당국의 사상통제 강화 행보는 당분간 계속 될 것으로 보인다.

시 주석이 지난달 23일 제20차 공산당 중앙정치국 집체학습에서 '21세기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발전을 강조하며 앞으로 사회에 대한 이상·신념 교육, 사상·도덕 건설, 이데올로기 공작을 조금도 늦추지 말아야 한다고 요구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