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릴레이 인터뷰> 정영채 NH투자증권 IB대표
(서울=연합뉴스) 윤선희 기자 = 국내 투자은행(IB)업계 맏형인 정영채 NH투자증권[005940] IB사업부대표(부사장)는 "국내 기업금융은 자본시장에서 형성된 다양한 자본가를 통해 이뤄지는 형태가 대세"라며 "이런 자본이 창조경제의 핵심"이라고 말했다.
정 대표는 6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기업들은 자본시장을 통해 구조조정과 인수.합병(M&A), 사업구조재편 등을 한다. 수요가 늘어나면서 자본시장의 비중이 은행(채권은행)이 장악한 기업금융시장의 10% 정도까지 높아졌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회사채의 만기 구조가 장기화한 것은 자본시장 성숙도와 연결해 설명할 수 있다"며 "만기가 긴 장기 채권 발행이 활성화하면서 기업들은 금리를 더 줘도 자본시장에서 조달하는 게 유리해졌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올해 인수.합병(M&A)과 기업공개(IPO·상장), 기업 구조조정 자문 등을 중점 투자사업으로 정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 국내 투자은행(IB) 사업의 방향은.
▲ 자본가와 기업을 연결한 플랫폼 채널 사업자로서의 역할이 대형 투자은행(IB)이 나아갈 길이다.
자본시장의 비중이 은행(채권은행)이 장악한 기업금융시장의 10% 정도까지 높아졌다. 과거엔 기관투자가로는 은행·보험밖에 없었다. 기업금융도 정부가 이끈 은행 중심의 자본가가 주류였다. 그러나 외환위기 전후 극단적인 부의 축적이 가능해 큰손의 자본가가 만들어졌다. 지금은 연기금 등의 복지형, 개인형, 벤처캐피탈과 같은 정책자문형, 사모주식펀드(PEF)와 같은 전문가형 등의 다양한 자본가가 탄생한 것이다.
창조경제와 창조금융은 국가가 다 짊어지는 게 아니다. 개개의 경제주체들이 신용이나 자본을 형성하고 자본가를 활용해 모험자본을 만든다. 수익자는 투자 위험을 지는 대신 수익을 나눠갖고 정책제언도 한다. 기업들은 이런 자본시장을 통해 구조조정과 인수.합병(M&A), 사업구조재편 등을 한다.
-- 실제 사례는.
▲ 자본가들이 실제 자본시장에 들어와 시장을 만들어 간다. 예컨대 극단적인 한계에서 이뤄지는 구조조정도 그 하나다. 웅진홀딩스[016880]와 한라비스테온공조[018880]가 법정관리에서 정상화하는 과정도 그렇다. 웅진그룹은 구조조정에서 회생에 이르기까지 전 과장이 자본시장에서 이뤄진 첫 사례다.
애경그룹과 한국타이어[161390], 만도그룹, 코오롱그룹 등의 경영전략 자문도 맡았다. 코오롱만 해도 지주회사 전환에서 계열사 상장, 전환사채(CB) 발행 등의 전반에 대한 자문을 IB를 통해 추진했다. 네파와 한진해운[117930], 웅진캐미칼, 레이크사이드, 쌍용건설, KT캐피탈, 파르나스호텔, 포스코특수강 등 매각도 마찬가지다. 이런 점에서 자본가한테 사회적인 배려가 따라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 올해 M&A시장 전망은.
이미 시장에서 금호산업[002990]과 동부그룹 계열사, 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 씨앤앰(C&M), LG실트론 등의 매물이 나와 매각을 추진하고 있다.
중요한 것은 PEF 시장에 주목해야 한다. 국내 PEF시장은 2005년에 시작됐다. 투자 기간은 보통 5년 안팎이다. 시장 초기에 투자에 나선 PEF들은 올해 투자금 회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 올해 상장도 활발해질까.
▲ 올해 유가증권시장을 찾는 비상장사의 발길이 끊이지 않을 것이다. NH투자증권은 현재 LIG넥스원과 이노션, 티브로드홀딩스, 제주항공 등 4개사 상장을 맡았다. LIG넥스원은 올해 상반기에 상장을 마무리하고 이노션은 7∼8월 상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티브로드홀딩스와 제주항공은 올해 하반기 유가증권시장에 입성시킬 계획이다. 코스닥시장은 암치료제 전문인 신라젠 등 바이오 업체가 많다. 찾아오는 기업들을 보면 올해 전자기술과 바이오가 결합한 사업이 뜰 것으로 보인다.
-- 글로벌 IB와 경쟁은.
▲ 채권단이나 정부기관 일부에선 외국계 IB를 선호한다. 대기업 중에서도 정보 유출이 덜 된다고 보고 외국계 IB에 맡기는 사례가 적지 않다.
이들은 대체로 국내 IB는 인력 교류나 전문성 부분에서 불안하다고 생각해 외국계 IB를 찾는다. 또 해외 IB가 성공하지 못하면 시장의 문제라고 보지만, 국내 IB에 자문을 맡겼다가 실패하면 시스템이 문제라고 한다.
-- 규제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 국내 IB들이 활동하는 데 사전적인 규제가 많다. 투자은행 내 IB사업부와 다른 사업부 간 장벽이 있어 모든 정보 제공이 차단돼 업무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외국에선 정보 유출에 대한 입증 책임을 투자은행에 맡기는 대신 사전 규제를 하지 않는다. 우리도 네거티브 시스템으로 바뀌어야 한다.
규제 문제는 아니지만, 경쟁이 과열되면서 수수료가 너무 낮아졌다는 점도 아쉽다. 우리도 동참한 책임이 있다. 양질의 서비스에 대한 비용을 내는 쪽으로 업계 스스로 노력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