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스크 4자협상 타결…우크라 정부군-반군 15일부터 휴전(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2-12 20:45:08
  • -
  • +
  • 인쇄
푸틴 "중화기 철수·동부 지역 특수지위 부여에도 합의"
16시간 마라톤 협상 종료…휴전·중화기 철수상황 OSCE가 감시

민스크 4자협상 타결…우크라 정부군-반군 15일부터 휴전(종합)

푸틴 "중화기 철수·동부 지역 특수지위 부여에도 합의"

16시간 마라톤 협상 종료…휴전·중화기 철수상황 OSCE가 감시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 4개국 정상회담이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분리주의 반군 간 휴전과 반군 장악 지역에 대한 특수지위 부여 등에 관한 합의를 이루면서 마무리됐다.

러시아 리아노보스티 통신 등에 따르면 4자회담에 참석했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12일 낮(현지시간) 약 16시간 동안 이어진 밤샘 협상을 끝낸 뒤 자국 언론을 상대로 한 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이 15일 0시를 기해 교전을 중단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푸틴 대통령은 또 중화기 철수와 비무장지대 창설에 관한 합의도 이루어졌다면서 "우크라이나 정부군은 현 전선에서, 분리주의 반군은 지난해 9월 민스크 휴전협정에서 설정된 전선에서 각각 중화기를 철수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군과 반군은 전선에서 최소 25km 이상씩 중화기를 철수시켜 최소 50km 이상의 비무장지대(안전지대)를 만들기로 했으며 중화기 철수는 휴전 개시 이틀 안에 시작해 14일 내에 완료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휴전과 중화기 철수 상황은 유럽안보협력기구(OSCE)가 감시하기로 했다.

양측은 또 분리·독립을 선언한 우크라이나 동부 돈바스 지역(도네츠크주와 루간스크주)의 '도네츠크인민공화국'과 '루간스크인민공화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합법적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개헌을 올해 말까지 실시하고, 두 공화국 영토에 특수지위를 부여하기로 한 기존 법률을 이행하며,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간 국경 통제도 두 공화국과의 협의를 통해 추진하기로 했다.

푸틴 대통령은 이날 회담이 끝난 뒤 지난해 9월 민스크 휴전 협정 이행을 위한 일련의 조치들을 명시한 이같은 합의문에 우크라이나 정부와 반군, 러시아, OSCE 실무 대표들로 구성된 '접촉그룹'이 서명했다고 전했다.

또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 4개국 정상은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 과정을 지지한다는 내용의 공동선언문을 채택했다고 덧붙였다.

푸틴 대통령은 완전한 휴전이 이루어질 때까지 우크라이나 정부군과 반군 양측이 자제심을 보일 것과 최대한 빨리 유혈 사태를 중단하고 사태 해결을 위한 실질적 정치 대화에 착수할 것을 촉구했다.

푸틴은 "오늘 밤이 내 인생에서 최고의 밤은 아니었지만 주요한 것에는 합의했다"고 4자회담 결과를 평가했다.

포로셴코 대통령은 "회담 과정에서 수용할 수 없는 최후통첩성 조건들이 제시됐지만 양보하지 않고 우크라이나의 입장을 고수했다"고 주장했다.

올랑드 대통령은 이번 민스크 합의가 유럽에는 위안이 되고 우크라이나엔 희망이 될 것이라면서 합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반군에 압력을 가해준 푸틴 대통령에 사의를 표했다.

올랑드는 그려면서도 "합의 사항들을 이행하기위한 작업이 남아있다"면서 "프랑스와 독일이 합의 이행 과정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메르켈 독일 총리도 별도 기자회견에서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에 대한 환상을 갖고 있지 않으며 아직 많은 작업을 해야겠지만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실질적 기회가 생겼다"고 평가했다.

반군 지도자인 도네츠크인민공화국 수장 알렉산드르 자하르첸코는 "(합의안의) 모든 조항들은 추가적 조율이 필요하다"면서 "(정부 측에서) 어떤 위반이라도 나오면 추가 접촉과 합의는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푸틴·포로셴코·올랑드·메르켈 등 4개국 정상과 실무 대표들로 구성된 접촉그룹은 전날 저녁 8시 15분께부터 민스크 시내 독립궁전과 외무부 영빈관에서 각각 회담을 시작해 이날 정오까지 무려 16시간에 가까운 마라톤 협상을 벌인 끝에 합의에 이르렀다. 이날 협상 타결로 일단 지난해 4월부터 시작돼 지금까지 5천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교전 사태를 중단시킬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됐다.

하지만 일부에선 이번 합의가 사실상 지난해 9월 민스크 휴전협정의 내용을 거의 그대로 반복한 것일 뿐 특별한 진전이 없다는 점과 지난해 민스크 협정이 정부군과 반군 간 교전 재개로 제대로 이행되지 않았음을 들어 이번 합의 이행 전망에 대해서도 회의적 견해를 밝히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