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개국 외무, 우크라이나 휴전 준수 촉구(종합)
러·우크라·佛·獨 외무 회담…미국 "대러 추가제재 검토"
(모스크바·브뤼셀=연합뉴스) 유철종 송병승 특파원 = 우크라이나, 러시아, 프랑스, 독일의 외무장관들이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지역의 휴전이 엄격하게 준수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4개국 외무장관들은 이날 프랑스 파리에서 만나 이달 중순 4개국 정상들의 합의로 체결된 민스크 휴정 협정 이행 상황을 논의한 뒤 이같이 밝혔다. 민스크 협정에 따르면 4개국 외무장관들은 협정 이행에 대한 감시 체제를 유지해야 한다.
◇ 러·우크라·프랑스·독일 4개국 외무, 민스크 협정 이행 점검
AFP,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로랑 파비위스 프랑스 외무장관은 4개국 외무장관 회담 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교전 당사자들에게 전면적 휴전과 중화기의 완전한 철수 등 민스크 합의 이행을 촉구했다. 4개국 장관들은 유럽안보협력회의(OSCE)의 휴전 감시 활동이 강화되어야 한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파비위스 장관은 전했다.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독일 외무장관은 동부 지역의 교전 수준이 낮아졌지만 휴전 협정 위반이 계속 일어나는 등 상황은 여전히 아주 불안정하다고 지적했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동료 외무장관들이 교전이 완전히 중단되기 전이라도 중화기 철수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견해를 같이했다"고 전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휴전협정 발효 이후 친러시아 반군이 장악한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의 데발체베 지역 상황이 집중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파벨 클림킨 우크라이나 외무장관은 그러나 외무장관들이 교전이 계속되고 있는 데발체베 지역 사태에 대해 아무런 합의를 이루지 못했다면서 기술적 문제들만 논의됐다고 아쉬움을 표시했다.
◇ 교전 지속, 중화기 철수 제대로 안돼
러시아·우크라이나·프랑스·독일 4개국 정상은 지난 12일 벨라루스 수도 민스크에서 이루어진 협상을 통해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 교전을 계속해오던 정부군과 분리주의 반군 간 휴전과 중화기 철수 등의 평화안에 합의했다. 그러나 휴전 협정이 발효한 지난 15일 이후에도 데발체베를 중심으로 교전이 계속되면서 합의가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정부군과 반군은 서로 상대편에 휴전협정 위반 책임을 돌리며 비방전을 계속하고 있다.
휴전 협정의 핵심 내용인 중화기 철수와 관련해서도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도네츠크주 반군이 먼저 중화기 철수를 시작했다고 밝혔지만, 정부군은 반군이 중화기 철수 흉내를 내면서 실제론 남부 도시 마리우폴 방향으로 부대들을 재배치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조랸 슈키략 우크라이나 내무장관 고문은 러시아와의 국경 인근 지역인 도네츠크주 도시 노보아조프스크로 러시아 군인들과 중화기, 탱크, 대포 등이 집중 배치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내무부는 역시 러시아 접경 지역인 데발체베 인근 도시 고를로프카로 러시아 정규군과 군사장비가 투입되고 있다고 밝혔다.
◇ 미국 "對러 추가 제재·對우크라 무기 지원 검토"
미국도 러시아가 병력과 무기 파견 등을 통해 반군 지원을 계속하고 있다면서 대러 추가 제재와 우크라이나에 대한 무기 공급 방안을 적극검토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은 24일 의회 외교위원회 회의에서 발언하면서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 반군은 러시아 정규군을 보충하는 역할을 할 뿐"이라며 "민스크 협정에 대한 공격적 위반과 관련 우크라이나에 대한 (미국의) 무기 공급이 적극 검토되고 있다"고 전했다.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 싸우는 반군의 핵심이 사실은 러시아 정부군이라면서 이에 대한 응징에 나서겠다는 의미였다.
러시아는 그러나 우크라이나로의 병력 파견과 반군 지원 주장을 강하게 부인하고 있다.
케리 장관은 미국과 유럽의 대러 제재가 러시아 경제에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면서 러시아는 자신의 선택에 대한 대가로 경기 침체 등과 같은 결과를 맞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며칠 내로 미국이 대러 추가 제재 결정을 내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