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EU 무역적자 확대…"수출구조 다변화해야"
무역협회 보고서 "당분간 흑자 전환 힘들 듯"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한국의 유럽연합(EU)에 대한 무역수지는 지난해 107억달러 적자를 나타내 역대 최대를 기록했다.
올해 1월에도 12억 달러의 적자가 나는 등 무역역조가 심화되고 있어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은 3일 공개한 '수입 급증, 수출 답보로 대EU 무역수지 적자 확대' 보고서에서 대 EU 무역 적자 확대가 2007년부터 본격화된 한국 기업의 해외생산 확대, 글로벌 금융위기, 유로존 침체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지난해는 EU로의 수출이 늘었으나 원유, 항공기·부품, 천연가스, 금제품 등의 수입이 급증하면서 적자폭이 커졌다는 것이다.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란에 대한 제재로 2012년부터 영국산 브렌트유 수입이 많이 늘어난 데다, 2011년 한·EU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후 EU 제품이 일본산 소재·부품을 대체해가고 있다.
아울러 국내 소비자들의 고급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유럽산 자동차와 소비재 수입이 빠르게 증가하는 것도 무역 적자폭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EU로의 수출은 유로존 경기침체로 주력 품목인 선박 수출이 급감했고, 2000년대 후반부터 해외 생산이 확대되면서 자동차, 무선통신기기 등의 수출이 줄거나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다.
제현정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위원은 "당분간 EU와의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며 "무역적자를 줄이려면 소수 품목에 집중된 수출구조를 다변화하고 의약품, 기계, 장비 등 만성 적자 품목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