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퍼트 美대사 경호·경비 문제 없었나(종합2보)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05 20:53:39
  • -
  • +
  • 인쇄
경찰 "美대사 경호대상 아냐…대사관서 자체 경호"
"셔먼 발언 이후 분위기 고려, 사전 대비했어야" 지적도
△ 미국대사관에 경찰 추가투입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마크 리퍼트 주한 미대사에 대한 테러 사건이 발생한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주한미국대사관 앞에 경찰 병력이 추가 투입되고 있다.

리퍼트 美대사 경호·경비 문제 없었나(종합2보)

경찰 "美대사 경호대상 아냐…대사관서 자체 경호"

"셔먼 발언 이후 분위기 고려, 사전 대비했어야" 지적도



(서울=연합뉴스) 김연숙 기자 = 5일 마크 리퍼트 주한 미국대사의 흉기 피습사건과 관련 경찰이 미 대사관 경호에 적절히 대처했는지가 도마 위에 올랐다.

경찰은 미 대사가 요인(要人)보호 대상이 아닌 데다 대사관 측의 경호 요청도 없었다고 해명하고 있으나 최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차관의 '과거사 발언' 등으로 반미 기류가 있는 점을 고려해 사전에 대비했어야 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지방경찰청에 따르면 경찰이 경호하는 인물은 경호편람 1장4조에 따라 경찰청장이 경호 필요성을 인정하는 외빈으로 선정된다.

테러, 납치 등으로 국가안전보장에 중대한 침해가 우려되는 인사 중에서 선정된다.

이렇게 선정된 경호 대상들은 주로 안보 관련 정부 주요 인사나 황우석 전 서울대 교수 등 과학계 중요인물 등이었다. 현재 수십명이 요인보호 대상으로 지정돼 경호를 받고 있다.

외국인이 우리 경찰의 경호나 요인보호 대상자로 지정된 사례는 없었다. 다만 최근 IS 등과 관련해 테러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경찰은 시설보호 요청을 받고 주한 대사관 건물 외곽에 경력을 배치한 바 있다.

리퍼트 대사의 경우 미 대사관 보안과에서 자체 경호를 담당하고 있다.

경찰 연락관이 대사관에 파견돼 근무하면서 대사관이 요청하면 이를 한국 경찰에 전달, 경비 인력을 파견하는 식으로 운영됐다.

피습 사건이 벌어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주최 행사의 경우 종로경찰서장이 자체 판단에 따라 기동대 1개 제대와 정보·외사 형사를 세종홀 안팎에 배치했다.

사전에 민화협 행사에 미국 대사가 참석한다는 사실을 파악, 우발 상황을 대비해 경비병력을 준비시켜 놓은 것이다.

단, 각국 상호주의에 기초한 외교상 관례와 독자적 외교활동 보장 기조에 따라 경호 증강 조치를 독자적으로 판단할 수 없었다고 경찰 측은 해명했다.

통상 대사관 측에서는 대사의 동선 노출을 우려해 한국 경찰과 일정 공유를 꺼리는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로 미 대사의 민화협 행사 참석 사실을 대사관 측이 이날 새벽에서야 공식적으로 경찰에 알린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이 같은 경찰 설명에도 경찰의 보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차관의 '과거사 발언' 등으로 주한미대사관 근처에서 집회가 잇따르는 등 미 대사관 인사들에 대한 위해 가능성이 제기된 시점이었다.

피습 전날인 4일만 하더라도 한국진보연대 등 일부 시민단체들이 셔먼 차관의 발언을 규탄하는 기자회견을 여는 등 국내 여론이 들끓었다.

경찰이 직접 경호에 나설 수 없었다면 이런 정황을 민화협에 알려 행사 주최 측에서 미 대사에 대한 경호를 강화하도록 요청할 수도 있었다.

경찰은 피습 사건 약 2시간 후인 오전 10시부터 리퍼트 대사를 요인 경호 대상자로 지정하고 리퍼트 대사에게 4명, 대사 부인에게 3명의 경찰관을 배치했다.

또 미 대사관 경비 인력을 기존 1개 중대에서 2개 중대로, 대사관저는 1개 소대에서 2개 소대로 늘렸다.

경찰은 이와 함께 주한 외교사절, 공관저 시설과 요인에 대한 신병보호를 강화하기로 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