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영, 원자력시설 해체 등 공동연구 추진키로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미래창조과학부는 원자력시설 해체 선진기술 확보를 위한 영국과의 원자력시설 제염·해체분야 공동연구 과제 5개를 선정했다고 16일 밝혔다.
미래부와 영국 공학·자연과학 연구위원회(EPSRC)는 지난 10일 영국 스윈든에서 전문가 평가 및 사업운영위원회를 개최, 원자력 제염·해체 분야 2개 과제와 방사성 폐기물 관리 분야 3개 과제 등 5개를 공동연구 과제로 확정했다.
원자력제염·해체 분야에서는 접근이 어려운 원전 해체 현장에서 사용할 첨단 로봇을 개발하는 '난 접근지역 오염물질 회수로봇 핵심기술개발'과 '유/무기 하이브리드 재료에 의한 방사성 핵종의 감지 및 제거' 과제가 선정됐다.
방사성 폐기물 관리 분야 선정과제는 '나노구조의 하이브리드 복합체를 이용한 고도 방사성 폐기물 처리'와 '부유 및 자성 입자를 이용한 세슘과 스트론튬의 혁신적인 분리공정을 통한 대량 폐기물의 소형화', 핵연료주기에서 발생하는 고휘발성 Tc 및 I 폐기물 관리기술 개발 등이다.
공동연구 과제 선정은 2013년 미래부와 영국 에너지기후변화부가 '원자력시설 해체기술 공동연구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한 데 따른 것으로 양국은 지난해 11월까지 15개 과제를 접수, 선정작업을 해왔다.
양국은 4월부터 시작될 5개 과제에 3년간 67억원(한국 30억원, 영국 220만 파운드)을 지원할 계획이다.
선진국들은 전 세계 원전 노후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원전 해체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현재 전 세계 원전 548기 중 149기가 영구 정지됐고 이 중 19기만이 시설 해체가 완료된 상태이다.
미래부는 우리나라의 원전 해체 기반 기술 수준은 미국, 일본, 독일 등 선전국의 약 70% 수준으로 평가된다며 이번 공동연구가 영국이 보유한 세계 상위 수준의 원전해체 기술을 확보할 좋은 기회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