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억대 비자금 조성경위, 포스코 수사 '첫 관문'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16 18:18:34
  • -
  • +
  • 인쇄
윗선 지시여부·용처 규명에 수사력 집중
△ 검찰, '포스코 비자금 의혹' 전·현직 경영진 줄소환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포스코건설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포스코 전ㆍ현직 고위 경영진을 대상으로 소환 조사 일정을 조율 중인 것으로 알려진 16일 오후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빌딩의 포스코 깃발이 펄럭이고 있다.

100억대 비자금 조성경위, 포스코 수사 '첫 관문'

윗선 지시여부·용처 규명에 수사력 집중



(서울=연합뉴스) 김계연 기자 = 포스코그룹에 대한 대대적 수사가 임박했다는 관측이 나오는 가운데 100억원대 비자금이 조성된 경위를 밝히는 게 검찰의 첫 번째 과제로 꼽힌다.

포스코건설 내부의 어느 선까지 비자금 조성에 개입했는지, 이 돈이 현지 업체에 대한 리베이트 이외의 다른 용도로 쓰였는지 규명될 경우 수사가 급물살을 탈 가능성도 있다.

포스코 수사를 맡은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조상준 부장검사)는 이 때문에 우선 베트남 건설현장에서 오간 비자금의 성격을 규명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베트남 법인장을 지내면서 비자금 조성을 주도한 두 명의 '박 상무'가 핵심 수사대상이다.

자체 감사를 진행한 포스코건설은 "실적에 집착한 영업담당 임원들의 개인적 비리"라며 꼬리를 자르는 모양새다.

그러나 검찰 수사는 이미 임원 2명의 횡령 혐의 너머를 바라보고 있다. 지난 13일 압수수색 대상에는 인천 송도의 포스코본사 임원실과 경영기획본부 등 사내 핵심부서가 다수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본사 차원의 조직적 개입을 염두에 두고 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핵심 인물들의 진술이 다소 엇갈리는 점도 이런 관측에 힘을 싣고 있다.

전임 박 상무는 "현지 업체에 리베이트로 줬을 뿐 회사에 흘러들어가지는 않았다"며 자체감사 결과와 같은 입장이다. 반면 후임자는 리베이트 여부를 모른다고 진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돈의 성격이 불분명하다는 것이다.

검찰 안팎에서는 정동화 전 포스코건설 부회장이 비자금 조성에 개입했는지에 따라 이번 수사의 방향과 속도가 결정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정 전 부회장은 베트남 현지에서 비자금이 만들어진 2009∼2012년 대표이사 사장으로 재직했다. '왕차관'으로 불린 박영준 전 지식경제부 2차관과 친분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파이시티 인허가 비리 수사 때 이름이 오르내리기도 했다.

이 때문에 검찰은 임직원들을 상대로 비자금 조성에 윗선의 지시가 있었는지를 집중 추궁하는 한편 돈의 흐름을 추적하는 데 수사력을 쏟고 있다. 조직적으로 비자금이 조성·사용됐다면 이 돈은 단순한 부외자금 수준을 넘어 정관계 로비자금 등으로 성격이 바뀔 가능성이 커 나머지 수사의 물꼬 역할을 할 거라는 판단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