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손목부착형 암치료 기기 특허 출원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18 10:06:05
  • -
  • +
  • 인쇄

구글, 손목부착형 암치료 기기 특허 출원



(서울=연합뉴스) 문정식 기자 = 구글이 혈액 속의 암세포를 파괴할 수 있는 손목 부착형 기기를 세계지식재산권기구(WIPO)에 특허 출원했다고 데일리 텔레그래프가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구글에 따르면 특허를 출원한 '나노입자 영동기(泳動機)'가 건강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혈액 속의 목표물들을 자동적으로 변형하거나 파괴할 수 있는 웨어러블 기기라고 설명했다.

목표물은 효소와 호르몬, 단백질, 세포와 기타 분자들을 포함하며 기기에서 혈관으로 에너지가 발산하면 변형되거나 파괴될 수 있다는 것이다. 기기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는 무선주파수, 자기장, 음파, 적외선이나 가시광선 신호 등이 될 수 있다.

구글은 기기의 치료 효과를 입증하는 실례로 파킨슨병을 유발하는 특정 단백질이 이 에너지에 의해 파괴돼 병의 진행이 늦춰질수 있다고 주장했다. 더 나아가 암세포를 변형시키거나 파괴해 암의 전이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덧붙였다.

구글이 암 연구사업에 매진하고 있음을 시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구글은 지난해 10월 '구글X'라는 새로운 연구조직을 통해 암과 기타 질병을 탐지할 수 있는 알약을 개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미세한 산화철 나노입자를 담은 알약을 혈관에 투입하면 나노입자가 혈류를 타고 전신을 돌면서 암세포와 접촉하게 되고 이를 염색함으로써 일종의 조기생화학신호를 보낸다는 것이다.

나노입자는 자기를 띠고 있어 손목에 찬 기기에서 자기장을 형성하면 암세포와 엉긴 채로 이끌려오게 된다. 기기는 끌어당긴 나노입자를 쉽게 탐지할 수 있다.

구글은 이 알약이 의료용으로 승인을 받는데는 최소 5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연구의 주안점은 사후치료(reactive)보다는 사전대처(proactive)에 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구글의 투자조직을 이끄는 빌 매리스는 최근 미래의 인간은 500년 동안 살 것이라고 말해 언론의 대대적인 주목을 받은 바 있다. 그는 현재의 암치료 방식은 곧 원시적인 것으로 보이게 될 것이라고 장담했다.

매리스는 구글이 암을 치료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벤처기업들을 찾기 위해 과학자들과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간의 수명을 늘리는데 도움을 줄 기업들에 투자하는 것이 그의 임무라고 강조했다.

매리스는 암 연구에 매진하는 이유에 대해 "실리콘 밸리에는 많은 억만장자들이 있다. 하지만 우리 모두는 같은 곳(죽음)으로 향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큰 돈을 버는 것과 사람들이 더 오래 살도록 하는 길을 찾는 것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라면 무엇을 선택하겠는가"라고 반문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