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맥도날드, 고무줄 스케줄에 5년간 시급 100원 인상"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19 11:41:17
  • -
  • +
  • 인쇄
알바노조 "유연근무제탓 실업급여도 받기 어려워…'갑질' 심각"
△ 알바노조, 맥도날드 규탄 기자회견 (서울=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19일 오전 서울 서대문구 맥도날드 홍제점 앞에서 알바노조 구교현 위원장이 맥도날드 규탄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알바노조는 유연근로제를 채택하고 있는 맥도날드가 근로자의 스케줄을 줄이며 퇴사를 압박했다고 주장했다. 2015.3.19 superdoo82@yna.co.kr

"맥도날드, 고무줄 스케줄에 5년간 시급 100원 인상"

알바노조 "유연근무제탓 실업급여도 받기 어려워…'갑질' 심각"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5년간 맥도날드 홍제점에서 아르바이트생으로 근무한 김모(50·여)씨는 최근 마지못해 일을 그만뒀다.

올해 들어 매장 측이 사실상 일방적으로 김씨의 근무 시간을 줄여 가정주부이자 가장인 김씨의 월급이 반 토막이 났고, 생계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진 탓이다.

19일 아르바이트 노동조합(이하 알바노조)에 따르면 김씨는 2009년 12월 입사해 주 5일 하루 8시간씩 주방 담당 아르바이트생인 '크루(crew)'로 일을 시작했다.

2014년 기준으로 월평균 176시간, 114만원을 받던 급여가 올해 1·2월 갑작스레 근무시간이 단축되면서 지난달 기준 65만 8천원으로 줄었다.

김씨는 매장 매니저에게 근무시간을 늘려 달라 했지만 유연 근무제를 이유로 '맥도날드는 원래 스케줄이 정해진 것이 없다'는 답변뿐이었다.

동시에 매장 측은 일요일 근무를 부탁했다가 김씨가 근로계약 조건에 없다는 이유로 거절하자 '그러면 다음 달 근무도 보장할 수 없다'는 말을 들었다.

김씨는 "급여가 줄어들어 다른 아르바이트와 병행이라도 할 수 있게 스케줄을 짜달라고 요청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퇴사 의사를 밝히자 기다렸다는 듯이 사직서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임금협상의 경우에도 6개월에 한 번씩 이뤄지도록 규정돼 있지만 맥도날드 측은 '아르바이트생은 해당되지 않는다'며 거부했고, 김씨의 시급은 5년간 100원 오르는 데 그쳤다.

알바노조는 이날 오전 김씨가 근무한 맥도날드 홍제점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맥도날드는 유연 근무제라는 본사의 근무 정책을 빌미로 아르바이트 노동자들의 노동환경을 완전히 방치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아울러 "현행법상 평균 급여가 20% 이상 줄어야 '근무조건 하락'으로 인정돼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지만 유연 근로자는 스케줄이 들쭉날쭉하고 매달 급여도 달라 실업급여를 받기도 어렵다"고 지적했다.

알바노조는 "맥도날드는 김씨에 대한 퇴사 압박이 부당행위임을 인정하고 책임자를 문책해야 한다"며 "근로계약 시 명시된 근로시간을 준수하고 근로계약서 미작성 등 불법 고용행위도 즉각 시정하라"고 촉구했다.

지난달 7일 맥도날드 신촌점 '점거 시위'를 벌였던 알바노조는 28일 아르바이트노동자의 시급인상 등을 요구하는 2차 점거시위를 벌일 계획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