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테크노폴리스 예정지 문화재 '벌떼조사' 이유는>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19 11:45:34
  • -
  • +
  • 인쇄
6개 전문기관 총동원돼 1년간 시굴·표본조사 진행
16개월 내 행정절차 마무리 조건 때문…토목공사 2017년 5월 완료
△ 청주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조성 '첫 삽'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18일 청주시 흥덕구 외북동에서 청주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 조성 사업 기공식이 열리고 있다. 이 사업은 152만7천575㎡를 도심형 첨단복합산업단지로 개발하는 것이다. 2014.3.18 <<청주시 제공>> jcpark@yna.co.kr

<청주테크노폴리스 예정지 문화재 '벌떼조사' 이유는>

6개 전문기관 총동원돼 1년간 시굴·표본조사 진행

16개월 내 행정절차 마무리 조건 때문…토목공사 2017년 5월 완료



(청주=연합뉴스) 박재천 기자 = 청주테크노폴리스 산업단지는 우리나라 매장 문화재 조사 역사에 전무후무한 기록을 세웠다.

택지개발지구 등 개발 대상지에서 벌어지는 문화재 시·발굴은 보통 1개 업체가 담당하기 마련이다.

그런데 청주테크노폴리스 문화재 조사에는 지난 1년간 중원문화재연구원, 충북도문화재연구원, 한국선사문화연구원, 호서문화유산연구원, 충북대박물관, 충청대박물관 등 6개 전문 기관이 참여했다.

지역 매장문화재 전문 기관이 총동원된 것이다.

업체별로 팀당 10명정도씩 1∼3개팀을 투입했으니 조사 인력도 매머드급이다.

이유는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조건 때문이다.

테크노폴리스 조성 사업의 핵심 주체인 청주시는 PF 자금 대출 16개월 이내에 보상, 이주, 문화재 시·발굴 등 행정 절차를 완료하는 조건으로 3천100억원을 산업은행 등 대주단에서 빌렸다.

만약 이를 이행하지 못하면 공사 지연에 따른 손해를 대주단에 보상해야 했다.

행정 절차 완료일은 PF 자금 첫 인출일(2011년 11월 25일)을 기준으로 오는 24일로 잡혀있었다.

시간이 많지 않았던 청주시와 ㈜청주테크노폴리스 자산관리가 문화재 시·발굴 기관을 총동원할 수밖에 없었던 배경이다.

시는 문화재 시굴과 표본 조사를 최근 종료했다고 19일 밝혔다.

표본 조사 과정에서 생활 유적이 나와 앞으로 충북대·충청대박물관을 제외한 4개 업체가 참여한 가운데 정밀 발굴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애초 계획에 없던 표본 조사로 문화재 시·발굴 예산은 45억원에서 80억원으로 많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정밀조사가 남았지만, 토목 공사를 본격적으로 벌이는 데는 문제가 없어 행정 절차는 완료된 것으로 협의가 이뤄졌다. 주민 보상·이주도 거의 마무리됐다.

이제 바통은 시공사인 대우건설이 넘게 받게 됐다.

대우건설은 하도급 업체와 함께 2017년 5월 24일까지 단지 조성 공사를 벌인다.

청주테크노폴리스는 외북동, 송절동 등 일원에 152만7천575㎡ 규모의 첨단복합산업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청주시, 산업은행, 대우건설, 신영 등 8곳이 주주사로 참여하고 있으며 사업 준공 시점은 2017년 8월이다.

각종 용지가 인기리에 분양된 가운데 대기업 용지와 유통시설용지 등이 미분양으로 남아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