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 FTC 반독점법 조사 당시 대규모 로비전 의혹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3-25 11:24:34
  • -
  • +
  • 인쇄
오바마 취임 후 백악관 230번 방문…지난해 186억원 투입
△ (AP=연합뉴스 자료사진)

구글, FTC 반독점법 조사 당시 대규모 로비전 의혹

오바마 취임 후 백악관 230번 방문…지난해 186억원 투입



(서울=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구글이 3년 전 반(反)독점법 위반 혐의로 조사받을 당시 백악관을 상대로 대대적인 로비를 펼쳤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2012년 말 구글 공동창업자 래리 페이지가 미국 연방무역위원회(FTC) 고위 관계자와 만났고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은 피트 라우스 백악관 선임고문을 찾는 등 임직원이 잇따라 당국자를 만났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방문록에 따르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이래 구글 임직원이 백악관을 방문한 횟수는 무려 230회에 달했다.

특히 구글의 로비스트 요한나 셸턴은 백악관을 총 60회 찾았다. 이는 미국 내 최대 케이블TV 사업자인 컴캐스트의 임직원 전부가 백악관을 찾은 횟수인 20회의 3배 수준이다.

또 2012년 대선 당시 슈미트 회장이 오바마 대통령을 위해 투표율 조사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데 힘을 보태기도 했다.

오바마 대통령이 재선된지 수주일 뒤에는 로비스트인 셸턴과 구글의 반독점법 담당 변호사가 백악관을 찾아가 대통령의 기술고문과 만난 것으로 알려졌다.

백악관 대변인은 이와 관련, "백악관 관계자는 정기적으로 기업 중역과 만난다"며 "기업인과 만남으로써 백악관은 주요 정책에 대한 외부의 시각을 알게 된다"고 해명했다.

하지만 백악관 고문이 기업 관계자와 해당 기업이 관련된 법집행 문제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이례적인 일이라고 신문은 지적했다.

구글은 로비를 위해 막대한 자금력을 동원하기도 했다.

이 회사가 지난해 로비스트에 들인 돈은 1천680만 달러(약 186억원)로 미국 기업 중 컴캐스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았다.

시가총액이 구글의 두 배에 이르는 애플은 410만 달러만 로비에 사용했으며 IT업계 경쟁기업인 마이크로소프트는 830만 달러를 쓰는 데 그쳤다.

구글이 2010년 로비에 쏟은 돈과 비교하더라도 지난해 로비 액수는 3배 이상 증가했다. 2010년은 구글이 FTC의 반독점법 위반 조사를 받기 전이다.

FTC는 2011년부터 19개월간 구글이 인터넷 검색시장에서 독점적 지위를 이용해 경쟁업체에 부당한 피해를 줬는지 조사를 벌여 2013년 최종적으로 무혐의 결론을 내렸다.

앞서 WSJ은 FTC가 직원 보고서를 통해 독점방지법 위반사실을 지적하고도 최종적으로는 이를 뒤집어 무혐의 결론을 내렸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