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산시청 전경 (부산=연합뉴스) 부산광역시청 전경 DB. 2014.4.29 |
부산시 산하 공기업 관피아 청산 '공염불'
공사·공단 주요 임원 퇴직공무원 낙하산 '대물림' 여전
(부산=연합뉴스) 신정훈 기자 = 민선 6기 출범 당시 서병수 부산시장이 내건 혁신 과제인 소위 '공기업 관피아' 물갈이가 공염불에 그쳤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서 시장이 강력한 공기업 경영혁신과 더불어 관피아 청산을 예고했지만 관피아 논란을 빚던 자리를 다시 시 퇴직 공무원이 물려받는 '대물림 관행'이 반복되고 있다.
25일 현재 시 산하 교통공사, 도시공사, 관광공사, 시설공단, 환경공단, 스포원(옛 부산경륜공단) 등 6개 공사·공단 임원 20명(공석인 부산관광공사 사장 포함) 중 12자리를 퇴직 공무원이 차지하고 있다.
민선 6기 출범 전 19명 가운데 14명이 퇴직 공무원이었던 것과 비교해 별반 차이가 없다.
공기업 인사 혁신 요구에 물갈이를 시도했지만 사람만 바뀌었을뿐 주요 임원 자리는 여전히 퇴직 공무원의 몫이었다.
몇몇 자리는 전문성을 고려하지 않은 선임으로 '철밥통 관피아' 인사의 전형이라는 지적까지 받고 있다.
교통공사는 시 출신 공무원이었던 사장이 임기를 10개월 앞둔 지난해 10월 떠났다.
그 자리에 국토부 교통물류실장 출신의 인사가 새로 임명됐다.
공직자 출신이기는 하지만 물류경영학 박사이자 철도 관련 전문가란 점에서 관피아 논란은 덜했다.
하지만 비어 있던 상임감사 자리에 교통 관련 업무와는 거리가 먼 시 여성가족정책관 출신이 임명됐다.
지난 1월에는 시 고위 공직자 출신이 맡다가 떠난 경영본부장 자리에 다시 부구청장을 지낸 인사가 임명되는 등 부산교통공사가 '관피아 둥지'라는 오명에서 좀처럼 벗어나질 못하고 있다.
만성 적자에 허덕이는 관광공사는 부실경영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장과 상임이사 등이 사표를 내고 떠난 가운데 후임 사장 적임자를 찾지 못해 비워놓고 있다.
이에 따라 사장 몫까지 감당해야 할 상임이사에 관광과 서비스산업 분야 전문가 영입이 요구됐지만 이달 초 시 상수도사업본부장 출신 퇴직 공무원이 자리를 꿰찼다.
시설공단은 최근 이사장과 경영본부장으로 이뤄진 직제를 이사장, 시설본부장, 운영본부장 운영체제로 바꿨는데 시설본부장 자리에는 부구청장 출신, 운영본부장에는 새누리당 시의원 출신을 각각 앉혔다.
사장, 경영이사, 운영이사 등 임원 3자리 모두 시 퇴직 공무원이 꿰찬 환경공단에서는 현 사장이 5월께 임기를 마치고 떠날 예정인데 이 자리에 이미 시 고위직 출신 인사가 내정됐다는 설이 파다하다.
서 시장은 지방 공기업과 출자·출연 기관의 경영혁신을 늘 강조했다.
특히 전문성이 있는 최고 경영자(CEO) 선임, 중복업무의 기능 폐지와 구조조정, 경영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 도입 등 강도 높은 혁신을 강조했다. 그러나 민선 6기 출범한 지 9개월이 지난 지금까지 혁신의 바람은 미풍에 그치고 있다는 게 시 안팎의 지적이다.
여전한 관피아 밥그릇 챙기기 논란에다 소위 선거캠프 공신들의 중용도 서병수 시장의 공기업 인사혁신 의지를 의심케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최근 임용된 부산도시공사 모 임원뿐만 아니라 모 출자기관 사장까지 선거 공신들이 속속 시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에 입성하고 있기 때문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