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2% 상승' 목표 일본 양적완화 결과는 디플레"< FT>
(런던=연합뉴스) 황정우 특파원 = 일본 중앙은행은 2013년 4월 '2년 내 물가 2% 상승' 목표를 가능한 한 조기에 실현하기 위해 양적 완화를 실시한다고 발표했다.
2012년말 138조 엔이던 본원통화 규모를 2014년말 270조 엔으로 확대한다고 했다.
그러나 공격적인 양적 완화의 결과는 일본은행이 내세운 목표를 기준으로 하면 실패로 귀결하고 있다고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가 26일(현지시간) 전했다.
지난 2월 일본의 음식 및 작년의 판매세 인상분을 제외한 근원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전년동기대비 0%를 기록했다. 2013년 5월 이후 최저치다. 제자리 걸음 한 셈이다.
지난해 10월 국채 매입액을 연간 50조 엔에서 80조 엔으로 확대하는 등의 추가 양적 완화에 나섰는데도 디플레이션 위험을 잡지 못한 셈이다.
물가가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날수록 일본은행으로선 다시 추가로 시중에 돈을 푸는 방법 이외는 별다른 선택지가 없어 보인다.
구로다 하루히코 일본은행 총재는 최근 양적 완화를 단행할 때 제시했던 '2년 내 물가 2% 상승' 약속을 지키지 못했음을 인정했다.
도쿄의 3월 예상 물가상승률이 0.2%를 나타내고 있어 일본이 이달에 디플레이션으로 떨어지진 않을 전망이다.
하지만 올 여름께 디플레이션에 처할 가능성이 있다.
도쿄의 크레디트스위스는 "전기·가스요금이 4월부터 줄어들기 시작할 것으로 예상돼 근원 소비자물가 상승률에 하방 압력을 더욱 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고용시장 여건은 소비자물가를 밀어올릴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는 점은 긍정적이다.
실업률이 지난 1월 3.6%에서 2월 3.5%로 낮아졌고, 2월 유효 구인배율(구직자 1명에 대한 구인자수를 나타내는 지표)이 같은 기간 1.14배에서 1.15배로 올랐다.
기업들이 고용 시장에서 경쟁한다는 것은 임금을 올려 제시할 가능성이 크고 이는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한다.
이런 가운데 아베 신조 일본 총리는 기업들에 임금 인상을 촉구하고 있다, 지난 1월 기본급은 15년래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다.
이달에는 도요타, 닛산, 히타치 등 일본 주요 대기업 노사가 최근 10년 새 가장 큰 폭의 임금 인상에 합의했다.
그럼에도, 일본 증시는 소비자물가 흐름을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듯 랠리를 펼치고 있다.
일본 니케이225 지수는 이달 15년 내 최고치로 올라섰다. 일본은행이 디플레이션을 막으려고 추가적인 양적 완화를 내놓을 것이라는 예상도 증시 랠리에 한몫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