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 (서울=연합뉴스) 자료사진. 2015.3.31 |
김문수 "유엔 북한인권사무소 중국에도 영향줄 것"(종합2보)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김문수 새누리당 보수혁신위원장은 31일 서울에 문을 열 유엔 북한인권 현장사무소가 북한뿐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의 인권문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서울글로벌센터에서 열린 북한반인도범죄철폐연대(ICNK) 주최 세미나 축사에서 "아직 동북아시아 일대가 완전히 민주화, 자유화된 지대가 아니다"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북한인권 현장사무소가 개설된다면 그 역할은 단순히 남북한에 그치지 않고 동북아 전체에 밝은 등불이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그는 2012년 북한인권운동가 김영환 씨가 중국에서 구금돼 고문을 당한 의혹도 거론하며 "북한을 넘어 중국에서도 (인권 유린으로) 절망하는 분들이 많다"면서 "러시아도 마찬가지"라고 지적했다.
유엔 북한인권 현장사무소는 올해 상반기 중으로 서울글로벌센터에 개소할 예정이다.
김문수 위원장은 "(현장사무소가) 원래 이 건물(서울글로벌센터)에서 3월까지 개소하는 것으로 들었는데 지연돼 매우 안타깝다"며 외교부가 현장사무소 개소를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이어 김 위원장은 "(북한 인권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도 대한민국 국회는 10년 동안 북한인권법안을 통과시키지 않고 있다"며 북한인권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촉구했다.
그는 "(정치인들이) '북한인권문제를 말하는 것이 손해가 되지 않을까', '북한인권법안을 통과시키지 않아도 낙선 위험은 없을 것이다' 이렇게 생각하는 것이 현실이다. 매우 부끄럽다"고 개탄했다.
그는 "민주주의의 핵심인 인권문제에 대해 국제사회보다 한 발 뒤떨어진 국회의 행보에 대해 국민은 준엄한 심판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정훈 외교부 인권대사도 국회가 북한인권법안을 통과시키지 않은 동안 북한이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감행했다며 "북한인권법 채택이 남북관계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주장은 터무니없다"고 일축했다.
이 대사는 북한인권문제의 해결을 위해 전세계적인 운동이 필요하다며 1980년대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 반대 운동을 참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현병철 국가인권위원장은 격려사에서 "정치권에서는 곧 있을 4월 임시국회에서 북한인권법 처리 의지를 밝히고 있다"며 "북한인권 개선에 중요한 모멘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ICNK 세미나는 작년 2월 발표된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회(COI) 보고서의 구체적인 이행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열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