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4·19혁명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등재를 위한 정책토론회 (서울=연합뉴스) 백승렬 기자 = 6일 국회 도서관에서 열린 4·19혁명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등재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김영진 전 의원이 기념사를 하고 있다. |
"4·19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해야" 토론회 열려
(서울=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4·19 혁명 유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등재 및 기념사업 추진위원회'는 6일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정책토론회를 열었다.
발제자로 나선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은 "4·19 혁명은 한 국가의 혁명을 넘어 1960년대 범세계적인 학생 운동의 시발이었다"며 "세계혁명사에 당당하게 기록되기에 손색이 없다"고 말했다.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에서는 '4·19 혁명 기록물의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 방안'을 주제로 서복경 서강대 현대정치연구소 연구교수, 안종철 전 5·18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추진단장 등의 추진 전략이 소개됐다.
김영진 추진위 이사장은 "우리나라 근현대사에서 3·1독립운동과 4·19혁명, 5·18민주화 운동 등 3대 민족·민주·평화운동은 자랑스러운 역사"라며 "우리가 최선을 다하면 반드시 등재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추진위는 작년 3월 설립 이후 사료수집에 전념해왔으며 기록물 추가 수집 및 구술 채록, 세부 학술연구 등을 통해 2017년 등재를 목표로 하고 있다.
4·19 혁명은 1960년 이승만 정권의 3·15 부정 선거에 항의하며 전국 대학생들이 주축이 돼 일으킨 반독재·비폭력 학생운동이다.
우리나라 헌법이 '대한민국은 임시정부의 법통과 불의에 항거한 4·19 민주이념을 계승하고'라는 문구로 시작될 만큼 민주주의 기틀을 다진 계기로 평가된다.
앞서 2011년 5·18 관련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데 이어 2013년에는 새마을운동과 난중일기가 목록에 이름을 올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