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용진 신세계 부회장 "스마트 시대, 축복이자 재앙"
인문학 중요성 강조…"독서ㆍ작문ㆍ토론 많이 해야"
(서울=연합뉴스) 이유미 기자 = 신세계 그룹의 정용진 부회장이 9일 인문학 전도사로 나섰다.
정 부회장은 이날 오후 고려대 인촌기념관에서 신세계 주최로 열린 '2015 지식향연' 프로젝트의 첫 번째 강연자로 나와 대학생 청중에게 인문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사고력과 통찰력을 키울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
정 부회장은 지금 이 시대를 스마트폰으로 대표되는 각종 스마트폰 기기가 삶과 깊숙이 연결된 '스마트 시대'라고 정의하고서 "이같은 기술의 발달이 인류에게 큰 축복이자 재앙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스마트 시대에는 "인간 본연의 능력인 '사고력과 판단력'이 퇴화할 수 있으며 합리적이고 논리적으로 상황을 분석하고 인지하는 '비판적 사고'가 결여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같은 스마트 시대의 위기를 극복하려면 ▲인문학적 지혜가 담긴 글을 읽고 ▲많이 생각하고 직접 글을 써보며 ▲주변 사람과 토론하는 연습을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부회장은 세계적인 테너인 안드레아 보첼리가 시각 장애의 역경을 딛고 변호사와 성악가의 꿈을 이룬 사례를 소개하면서 이같은 성공의 배경에는 독서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히 "역사적 인물들의 삶은 문학적이고 극적인 서사가 가득하고, 역사적 사건들 속에는 그 시대를 지배하는 철학이 깃들어 있다"며 역사책부터 읽을 것을 조언했다.
정 부회장은 이어 "글 쓰는 것 자체가 인문학적 사고의 과정"이라며 많이 생각하고 직접 글을 써보라고 제안했다.
이런 과정을 통해 자신의 관점을 성찰하고 다른 사람의 의견을 비판적으로 수용할 기회를 얻게 되며 자신의 논리를 창의적으로 정리하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정 부회장은 "토론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고, 동시에 타인의 생각을 이해하는 최고의 사고력 훈련"이라며 삶의 중요한 문제에 대해 서로의 의견을 나누는 과정을 통해 사고가 정교해지고 논리가 더욱 풍성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정 부회장의 인문학 사랑은 모친 이명희 회장에게서 물려받은 것으로 전해진다.
이 회장은 정 부회장의 어린 시절부터 "경영을 잘하려면 사람을 잘 알아야 한다. 그러려면 인문학과 예술에 대한 이해가 필수다"라고 강조해온 것으로 유명하다.
특히 지난해 본격화된 신세계의 인문학 중흥 프로젝트는 2013년 하반기 신세계 그룹의 각사 대표들이 모인 자리에서 사회에 기여할 방안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중 나온 아이디어에서 비롯됐다고 신세계 관계자는 전했다.
신세계는 이날 강연을 시작으로 8월 말까지 제주대·건국대·경북대·강원대 등에서 인문학 콘서트 형식의 강연회인 '지식향연' 프로젝트를 진행할 예정이다.
신세계는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 채용을 위해 신입사원 선발 방식에도 변화를 줘서 올해 대졸 신입사원의 경우 인문계열 전공자가 43%로, 상경계열 전공자 35%를 앞섰다고 밝혔다.
2014년 대졸 신입사원의 경우 상경계열 전공자가 50%였고 인문계열 전공자는 30%에 불과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