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언구 도의장 "합리적 추진" 여운 남겨
제동 걸린 충북도의회 독립청사 건립…불씨는 여전
옛 중앙초 건물 충북도 제2청사 활용 가능성 높아
이언구 도의장 "합리적 추진" 여운 남겨
(청주=연합뉴스) 심규석 기자 = 충북도가 옛 중앙초등학교 부지를 사들이는 대로 독립청사 건립을 추진하겠다던 이언구 도의장의 기세가 누그러들었지만 그 꿈은 사그라지지 않았다.
충북도와 도교육청이 중앙초 부지 매매에 사실상 합의하자 이 의장은 15일 기자회견을 자청해 "도의회 독립청사 건립의 실마리가 풀렸다"고 평가했다.
당장은 아니겠지만 충북도와 도의회가 독립청사 건립을 둘러싸고 마찰을 빚을 수 있는 갈등의 불씨가 남아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도의회의 사무 공간이 비좁다는 데는 이견이 없다.
'공유재산 및 물품관리법'상 인구가 100만명 이상 200만명 미만인 광역의회 청사 면적 기준은 9천878㎡다.
그러나 충북도의회 면적은 이 기준의 56% 수준인 5천526.96㎡에 불과하다.
본회의장을 제외하고는 도의원과 직원 전체가 모일 수 있는 공간은 아예 없고, 도의원 31명이 모여 회의할 수 있는 공간도 빠듯하다.
독립청사가 없는 광역 의회는 충북이 유일할 뿐만 아니라 그 면적도 다른 시·도 의회의 절반가량밖에 되지 않는다는 게 도의회의 설명이다.
이 때문에 중앙초 이전 계획이 알려진 2013년 3월 제9대 도의회가 독립청사 건립 계획을 내놨고, 지난해 7월 출범한 제10대 도의회 역시 독립청사 건립 필요성을 제기했다.
이 의장도 지난해 10월 기자회견에서 "중앙초는 초대 도의회 의사당이 있었던 역사적인 장소"라며 이곳에 독립청사를 건립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다행히 이 의장이 청사 건립을 당장 추진하지 않겠다고 한 발짝 물러서면서 충북도와 마찰 가능성은 낮아졌다.
이 의장이 입장을 선회한 데는 학교 건물을 증·개축하더라도 도의회 독립청사로 당장 활용하기 어렵다는 판단이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교실 사이의 벽을 허물어 공간을 넓히더라도 본회의장이 들어서는 것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본회의장을 도청 신관에 그대로 두고 도의회 사무실만 중앙초로 옮기는 것도 효율성 면에서 한계가 있다.
수백억원이 소요되는 데 따른 비판 여론과 여야를 막론하고 원내대표단이 시기상조라며 반대하고 나선 것도 이 의장으로서는 부담스러웠을 것으로 보인다.
이런 점에서 충북도는 중앙초를 사들여 증·개축한 뒤 도청 공무원들이 근무하는 제2청사로 쓸 가능성이 크다.
도의회 청사가 아니라 제2의 도 청사로 활용한다면 손을 많이 대지 않아도 돼 65억원의 리모델링 비용을 대폭 줄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의장은 "도의회 청사 건립의 절차와 방법에 대해 도와 긴밀히 협조하고 각계 의견을 수렴해 합리적으로 추진하겠다"고 여운을 남겼다.
언제든 적절한 시점이 되면 독립청사 건립을 재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결국 수백억원이 투입돼야 할 도의회 독립청사 건립을 둘러싼 충북도와의 마찰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있는 셈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