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포도 수입, 사상 최대…칠레산이 80%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4-19 06:01:00
  • -
  • +
  • 인쇄
국내 포도 생산량, 15년새 반토막
△ 대형 마트의 과일 진열대(연합뉴스 자료사진)

작년 포도 수입, 사상 최대…칠레산이 80%

국내 포도 생산량, 15년새 반토막



(세종=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자유무역협정(FTA)의 영향으로 칠레산 등 수입 포도가 밀려들면서 지난해 포도 수입량과 수입액이 '사상 최대' 기록을 세웠다.

반면 이 같은 수입 급증과 도시화 등의 영향으로 국내 포도 재배면적과 생산량은 15년사이 거의 반토막 났다.

19일 관세청 수출입무역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신선 포도 수입량은 5만9천260t, 수입액은 1억8천952만3천달러에 달했다.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대 규모다.

수입량은 5년 전인 2009년(2만8천437t)의 약 2배(108.4%), 2004년(9천970t)의 약 6배(494.4%)로 불었다.

올해 1분기 신선 포도 수입량·수입액도 각각 2만3천332t, 7천868만3천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1만8천785t·6천512만2천달러)보다 24.2%, 20.8% 늘었다.

수입 포도의 원산지를 보면, 칠레 비중이 압도적이다. 지난해 국내에 들어온 수입 신선 포도 가운데 수입량 기준 79.4%(4만7천26t), 수입액 기준 80.3%(1억5천210만7천달러)가 칠레산이었다.

칠레산 포도 수입은 지난 2004년 한·칠레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급증하기 시작했다.

작년 1월 칠레산 포도에 대한 관세가 완전히 없어지면서 수입 증가세는 더욱 빨라졌다. 지난해 칠레산 신선 포도 수입량은 2004년의 5배 이상(465.4%)으로 뛰었다.

칠레에 이어 미국(2014년 7천27t·비중 11.9%)과 페루(2014년 5천200t·8.8%)도 많은 양의 포도를 우리나라로 수출하고 있다. 두 곳 모두 칠레와 마찬가지로 우리나라와 FTA를 체결한 나라들이다.

2011년부터 수입돼 최근 포도시장 '신흥 강자'로 떠오른 페루산은 미국산(10∼12월)과 칠레산(1∼6월)의 산지 전환기인 11∼2월에 주로 들어온다.

이처럼 수입 포도가 식탁에 더 자주 오르는 사이 우려했던대로 국산 포도의 생산 기반은 약해졌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포도 재배 면적은 2000년 2만9천㏊에서 지난해 1만6천㏊로, 포도 생산량도 같은 기간 47만6천t에서 27만2천t으로 절반가량 줄었다.

이런 추세가 이어질 경우 오는 2024년에는 국내 포도 재배 면적이 1만5천㏊까지 좁아질 것으로 예상된 반면 신선 포도 수입량은 관세 인하 효과와 수요 증가로 7만9천t까지 불어날 것으로 전망됐다.

연구원은 "2000년 이후 도시 개발과 품목 전환 등으로 포도 재배 면적이 줄어든데다 수입 포도·체리·바나나·망고 등 대체 과일이 늘면서 국내산 포도에 대한 수요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