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정부, 외국 기후변화 회의론자 '기획영입' 논란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4-23 13:04:40
  • -
  • +
  • 인쇄


호주정부, 외국 기후변화 회의론자 '기획영입' 논란



(시드니=연합뉴스) 김기성 특파원 = 호주 정부가 거짓말까지 하면서 덴마크 기후변화 회의론자의 지휘를 받는 정책연구소를 자국 대학에 설립하도록 한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서호주대학(UWA)은 최근 덴마크 연구소 '코펜하겐 컨센서스 센터'를 본뜬 정책연구소를 설립한다고 발표해 주목을 끌었다. 이 센터는 국제문제에 대한 가장 효율적인 해법을 찾는다는 목표 아래 비외른 롬버그가 2006년 덴마크 보수정권의 지원을 받아 설립한 단체다.

발표가 나온 뒤 각 연구소와 과학계에서는 정부가 연구비 지원을 대폭 삭감하는 상황에서 연구소 설립 구상이 어떻게 나왔으며 자금은 어떻게 마련할 것이냐며 의구심을 드러냈다.

또 롬버그가 기후변화의 위험이 과장됐다며 빈곤과 말라리아 같은 문제에 초점을 둬야 한다고 주장하는 등 세계 과학계에서 기후변화 회의론자로 지목된 인물이라는 점에서도 정부 쪽에 의혹의 시선이 쏠렸다.

결국 호주 교육부는 지난주 이 연구소에 앞으로 4년 동안 400만 호주달러(34억원)를 지원할 계획이라며 지원 금액은 연구소 전체 예산의 3분의 1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연구소 설립이 전적으로 대학과 롬버그 측 제안으로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정부 측 설명에도 의혹이 가시지 않고 결국 연구소 설립이 정부의 '기획 작품'이라는 사실이 드러나면서 파문이 확산하고 있다.

서호주대학의 폴 존스 부총장은 23일 호주 ABC 방송에 "정부가 먼저 글로벌 및 호주의 장기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소 설립에 관심이 있는지 물어왔다"며 연구소 설립을 위해 지금까지 들어간 비용도 모두 정부로부터 나온 것이라고 털어놓았다.

대학 측은 처음부터 정부가 연구소 예산 대부분을 담당할 것으로 믿어왔다고 시드니모닝헤럴드는 전했다.

연구지원 축소로 연구원 감원 등의 홍역을 치르는 과학계는 정부를 강력하게 성토했다.

기후변화 연구자인 팀 플래너리는 ABC 방송에 "정부는 돈이 없다며 2년 전 기후위원회(Climate Commission) 지원을 끊었다"며 "능력 있는 호주 연구자도 많은데 연구의 진실성마저 의심되는 외국인 연구자를 쓰려는 것에 매우 놀랐다"고 말했다.

기후위원회는 기후변화 연구 강화를 목적으로 2011년 당시 줄리아 길라드 정부 때 독립기구로 출범했으나 2013년 9월 새로 들어선 토니 애벗 정부에 의해 폐지된 바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