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연방정보국, 도청 검색기록 무더기 삭제 지시"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01 21:10:06
  • -
  • +
  • 인쇄
오스트리아도 도청 대상…정치권 비판 여론 확산

"독일 연방정보국, 도청 검색기록 무더기 삭제 지시"

오스트리아도 도청 대상…정치권 비판 여론 확산



(베를린=연합뉴스) 고형규 특파원 = 미국 국가안보국(NSA)과 손잡고 유럽 정부기관과 군수산업체를 도청했다고 폭로된 독일 연방정보국(BND)이 2013년 8월 해당 도청 관련 검색어 기록을 무더기 삭제하라고 지시했다고 슈피겔 온라인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 매체는 한 실무자가 'diplo', 'bundesamt', 'gov' 같은 단어가 들어간 연관검색어 1만 2천 개를 찾아내고 나서 그해 8월 14일 이메일로 이를 어떻게 할 것인지를 상부에 묻자 "삭제하라"는 답변이 돌아왔다며 이같이 전했다.

이들 단어는 각기 외교, 연방정부, 정부를 뜻하는 것으로, 최근 진보 성향의 일간 쥐트도이체차이퉁(SZ)이 폭로한 독·미 합작 '정치적 스파이' 행위를 뒷받침하는 정황 증거의 하나로 받아들여졌다.

SZ는 지난달 30일 BND가 NSA의 정치적 스파이 행위를 도왔다며 프랑스 외무부, 엘리제궁(프랑스 대통령 관저),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 등을 사찰 대상으로 지목했다.

슈피겔 온라인은 해당 검색어 목록에는 이메일 주소, 독일과 다른 유럽 국가들의 외교관·공무원·정부기관들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SZ의 정치 스파이 행위 보도는 이들 기록 가운데 일부만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일요판 신문 빌트암존탁은 슈피겔 온라인과 같은 삭제 지시 내용을 보도하면서 독일어 검색어 'bundesamt'를 꼽고는 같은 독일어권 국가인 오스트리아도 도청 대상으로 삼았다고 전했다.

빌트암존탁은 2013년 미국 NSA의 무차별 개인정보 수집 행위를 폭로한 에드워드 스노든 사건이 터지고 나서 이뤄진 BND 내부 조사에서 이런 사실이 드러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빌트암존탁은 그러나 슈피겔 보도만으론 삭제 지시가 실행되었는지, 또한 지시대로 삭제됐다면 해당 검색 대상은 앞으로 추적할 수 없는지는 불분명하다고 지적했다.

사태가 이쯤 되자 연방정부 파트너 소수당인 사회민주당(SPD)의 야스민 파이미 사무총장마저 현지 언론에 "총리실의 BND 감독 기능이 형편없이 망가진 것으로 보인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또 녹색당의 안톤 호프라이터 원내대표는 언론에 나온 자료 관련 정보를 의회 내 NSA 사건 관련 조사위원회에 모두 제출하라고 요구하는 등 정치권의 비판 여론도 확산하고 있다.

한편, 슈테른 온라인은 바이에른주 북부의 바트 아이블링 지역에 있는 도청 건물은 애초 미국 정보당국이 직원을 2천 명까지 두고 사용하다가 2004년 BND가 넘겨받았고, 미국 기술 체제가 적용되기 때문에 일부 미국 요원들이 지금껏 함께 일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