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와의 군사·경제적 밀착 등 '반격 행보' 강화할듯
中국방부,美日 겨냥 "우리 능력 과소평가 말라" 경고(종합2보)
새 방위협력지침에 첫 공식반응…"군사력 통한 사익 추구행위" 맹비난
러시아와의 군사·경제적 밀착 등 '반격 행보' 강화할듯
(서울·베이징=연합뉴스) 정일용 기자 이준삼 특파원 = 중국군이 '대중 포위전략'의 일환이라는 분석이 나오는 새 미일방위협력지침(가이드라인)에 대해 "우리 능력을 과소평가하지 말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미국과 일본은 아베 총리의 방문에 맞춰 최근 미일 행동반경의 세계화와 대중국 억지력 강화를 핵심으로 한 새 미일방위협력지침에 합의했다.
중국군이 새 미일방위협력지침에 공식 반응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앞으로 구체적인 반격 행보가 이어질 수 있어 동중국해와 남중국해 등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긴장이 더욱 고조될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1일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 등에 따르면 겅옌성(耿雁生) 중국 국방부 대변인은 전날 열린 기자회견에서 "새 미일방위협력지침과 미일 국방장관의 '남중국해에서 국제규범을 준수하라'는 미일 국방장관 발언을 어떻게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우리는 이를 고도로 주시하고 있다. 그에 대해 세 가지를 강조하고 싶다"고 말했다.
겅 대변인은 우선 "군사동맹은 과거의 유물로 평화 발전·협력 공영의 시대적 조류에 어긋난다"며 "미일 군사동맹 강화는 앞으로 (두 나라의) 안보협력 범위를 전 지구로 확대할 것이며 이것이 세계평화와 지역안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모두가 고도로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우려했다.
또 "미일 동맹은 냉전이라는 특수한 역사적 배경에서 형성된 양자관계로 당연히 그 (협력) 범위는 양자관계로 제한돼야 하고 3자 이익을 훼손해선 안 된다"며 "군사동맹을 통해 터무니없이 군사력을 확대하려 하고 다른 나라 발전을 억제하며 자기 사익을 추구하는 방법은 헛수고가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그는 특히 "중국은 국가영토 주권과 해양권익을 강력히 수호할 것"이라며 "우리는 관련 국가가 중국과 주변국가의 영토주권, 해양권익 갈등에 참견하는 것을 반대하며 그 누구도 정당한 권익을 지키려는 우리의 결심과 능력을 과소평가해선 안될 것"이라고 거듭 경고했다.
그는 최근 실시된 남중국해에서의 미국-필리핀 대규모 합동군사훈련에 대해서도 긴장만을 불러 올 뿐 지역 평화와 안정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난했다.
겅 대변인은 "현재 상황에서 그 같은 대규모 훈련에 대해 우리는 묻지 않을 수 없다"며 "누가 긴장 조성을 하는가, 누가 지역 평화와 안정을 위협하는가"라고 항의했다.
중국군의 이 같은 강경한 어조는 일종의 '반격조치'를 예고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겅 대변인은 실제로 중러 양국이 이달 중순께 지중해에서 처음으로 '해상연합-2015(1)'이라는 이름 아래 군사훈련을 실시한다며 양측이 모두 9척의 함정을 이번 훈련에 참여시킬 예정이라고 밝혔다.
그는 해상방어, 해상보급, 선박호송, 수송안전 보장 등으로 구성된 이번 연합훈련의 목적은 원거리 항해 안전을 보호하고, 중러 양국의 협력 강화 및 해상안전 위협에 대한 공동 대응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당국은 전날 중일간 영유권 분쟁지역인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열도 부근 해역에 함선 편대를 파견하며 일본에 대한 '실력행사'에도 돌입했다. 중국 해경선의 센카쿠 영해 진입은 13일 만에 재개된 것이다.
특히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오는 9일 모스크바에서 열리는 제2차 대전 승전 70주년 기념식에 참석해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할 예정이어서 양측이 다시 한번 군사·경제적 밀착 행보를 과시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장더장(張德江)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은 이날 아르카디 드보르코비치 러시아 부총리와 전화통화를 갖고 양국 간 에너지 협력, 고속철 프로젝트 협력 의 속도를 끌어올리고 시 주석과 푸틴 대통령과의 5월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더욱 많은 성과를 도출해내자고 당부했다고 중국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人民日報)가 보도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