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작년 7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 중인 후쿠오카(福岡)현 기타큐슈(北九州)의 야하타(八幡)제철소를 방문한 모습. |
"아베, 산업시설 세계유산등록 위해 관계국에 친서"
일본 민방 보도…추천단계서부터 아베 의중 크게 반영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일본 정부는 한일간의 외교전으로 비화한 자국 산업시설의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 등록을 성사시키기 위해 관계국에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친서를 보내고 있다고 민방인 TV아사히가 5일 보도했다.
일본 정부는 7월 세계 문화유산 등재 여부를 결정할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의 관계국에 아베 총리의 친서를 보내는 등 호소를 강화하고 있다고 TV아사히는 소개했다.
유네스코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최근 일본 규슈(九州) 지역을 중심으로 한 8개 현에 걸친 총 23개 산업 시설의 세계 문화유산 등재를 유네스코에 권고했다. 일본 정부가 추천한이들 23개 시설에는 나가사키(長崎) 조선소, 하시마(端島.일명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약 5만 8천명이 강제노동한 현장 7곳이 포함됐다.
'메이지(明治) 일본 산업혁명 유산'으로 명명된 이들 산업시설의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 추진에는 아베 총리의 의중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3년 일본 정부는 내각 관방의 전문가 회의가 추천한 산업시설군과, 문화청 문화심의회가 뽑은 나가사키현·구마모토(熊本)현의 기독교 유산 중 어느 쪽을 밀지 검토하다 결국 산업시설을 먼저 추진키로 하고, 기독교 유산은 이듬해로 미뤘다.
문화유산 추천은 그간 전통적으로 문화청 문화심의회가 맡았고, 두 후보지가 모두 걸쳐있는 나가사키현과 나가사키시가 모두 기독교 유산들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것을 요구했다는 점에서 산업시설의 등재를 추천하는 단계에서부터 총리 관저의 의중이 크게 반영됐던 것으로 추정됐다.
아베 총리는 과거 국회 발언때 이들 산업시설이 서구의 식민지가 될 위기에 처한 일본이 근대국가로 나아가는데 원동력이 된 시설임을 강조하는가 하면, 자신의 정치적 고향인 야마구치(山口)현 인사들이 주도한 메이지유신을 예찬한 바 있다.
또 작년 7월에는 23개 시설 중 하나로,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이었던 후쿠오카(福岡)현 기타큐슈(北九州)의 야하타(八幡)제철소를 방문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