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제개혁> "당일 배송 중심, 도시첨단물류단지 키운다"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06 14:00:00
  • -
  • +
  • 인쇄
노후화된 터미널·공구상가에 복합단지·빌딩 건설
아파트 기부채납 받아 임대주택 3천호 공급 추진


<규제개혁> "당일 배송 중심, 도시첨단물류단지 키운다"

노후화된 터미널·공구상가에 복합단지·빌딩 건설

아파트 기부채납 받아 임대주택 3천호 공급 추진



(세종=연합뉴스) 성혜미 기자 = 정부가 도시 내 노후화된 터미널부지, 공구상가 등에 민간자본으로 복합단지나 빌딩을 지어 도시첨단물류단지로 육성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국토교통부는 6일 제3차 규제개혁장관회의에서 '전자상거래 활성화를 위한 물류인프라 규제개혁방안'을 발표했다.

국토부는 아마존, 이케아, 알리바바 등 해외 전자상거래업체처럼 국내 업체들이 성장하려면 반일 또는 당일 배송이 확보돼야 하고 이를 위해서는 도시 안에 B2C(기업-소비자간) 물류 인프라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기존 택배회사나 기업의 물류단지는 경기도 광주를 비롯한 도시 외곽에 있어 배송기간과 비용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이 때문에 그린벨트 내 창고 같은 불법·영세시설을 이용하는 문제도 지적됐다.

국토부는 다음달 물류시설법 개정안을 발의해 '도시첨단물류단지' 조성을 추진한다.



도시내 물류거점을 만들어 온라인 기반으로 신선식품, 생활물류를 주로 취급하게 하고 단일부지에 물류-유통-첨단산업이 한꺼번에 들어설 수 있게 융복합을 허용한다.

그동안에는 물류시설용지(터미널·창고)와 상류시설용지(대규모점포·도매시장), 지원시설용지(주거·문화·의료·복지)로 구분돼 용지별로 입주대상 시설이 제한됐는데 앞으로는 같은 부지 안에 들어설 수 있게 한다는 것이다.

단일건물 내 '입체적 복합'도 허용해, 빌딩을 지어 지하에는 택배업체나 인터넷·모바일쇼핑몰의 물류시설이 입주하고 지상에는 상가, 사무실, 전시장, R&D센터 등이 들어서게 한다.



특히 주거와 첨단산업 융합을 허용해 부지 안에 아파트와 오피스텔 건축이 가능하도록 추진한다.

국토부는 도시에 산재한 기존 물류·유통시설이 낙후돼 물류운송 기능을 상실하고 주민 기피시설로 인식되고 있다며 이같은 곳의 개발 제한을 풀어 도시첨단물류단지 부지로 활용할 생각이다.

정부는 일반 물류터미널 34곳과 공구상가·농수산시장·자동차부품단지 등 124개의 도시유통시설 가운데 5곳을 지자체와 협의해 시범단지로 내년 6월 확정 고시한다는 계획이다.



국토부는 또 규제개혁에 따른 이익을 그동안에는 공원, 토지 등 기부채납 방식으로 환수했는데, 물류시설법과 물류단지 개발지침 등을 개정해 신사업 활성화 투자, 주민복지 시설 및 종사자 등을 위한 임대주택 공급 방식으로 전환하겠다는 방침이다.

예컨대 5곳의 시범 물류단지가 지어지면, 임대아파트 3천호 정도를 땅값 없이 표준건축비로 기부채납 받아 저렴하게 임대하고 창업인큐베이터를 통해 연간 1천명에게 사무실 제공과 창업 컨설팅, IT인프라 등을 제공해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계획이다.

또 물동량이 적은 초기 전자상거래 업체에 공용사무실과 창고 등을 원가에 공급하고 역직구 활성화를 위한 번역서비스와 해외마케팅 서비스 제공, 중소기업·한류상품 및 신기술 체험공간 및 온라인 쇼핑몰을 현실에 그대로 구현한 공간도 구상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처럼 5곳의 시범 물류단지를 통해 연간 2천억원 이상 물류비를 절감하고 4만4천명 정도의 일자리 창출 및 직거래 활성화 효과를 기대한다.

정부는 '재정 부담없이' 수천억원대의 효과를 기대하지만, 프로젝트파이낸싱(PF) 등 민간자본으로 사업비를 조달해야 하고 도시 내 교통혼잡 유발 문제에 대한 우려도 있다. 시범단지 5곳 조성에만 3조7천억원이 필요하다.

서울 양재동 옛 화물터미널 부지에 복합유통단지로 추진된 파이시티의 경우 인허가 로비사건이 얽히고 과도한 차입금으로 파산했다.

국토부가 구상하는 도시첨단물류단지는 외관상으로는 파이시티 조감도와 유사하다. 그러나 파이시티가 백화점과 쇼핑몰 등 수익 사업 위주로 추진됐지만 도시첨단물류단지는 공공성에 중점을 맞춰 처음부터 설계한다는 설명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