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수입시장서 韓·日 경쟁 갈수록 격화"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미국 시장을 놓고 벌이는 한국과 일본의 쟁탈전이 치열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이 6일 공개한 '미국 수입시장에서의 한일과 한중 수출 경합 비교' 보고서에 따르면 미국 시장에서 한일 수출경합도는 2010년 0.438에서 2014년 0.517로 높아졌다.
수출경합도는 수출 상품 구조의 유사성을 계량화해 특정 시장에서 해당국 간의 경쟁 정도를 보여주는 지표로 1에 가까울수록 경쟁이 치열하다는 의미다.
품목별로 보면 자동차·부품의 수출경합도가 0.782로 가장 높았으며, 기계류(0.548), 전기전자(0.519) 등이 뒤를 이었다.
자동차·부품의 수출경합도는 2010년 0.702에서 2014년 0.782로 상승했으며, 반도체(0.499→0.561)와 기계류(0.440→0.548)의 경합도 상승이 두드러졌다.
수출경합도가 높은 품목 가운데 산업용 로봇, 반도체 디바이스, 기어박스 등은 일본의 시장점유율이 상승한 반면 한국 전유율은 하락한 것으로 파악됐다.
산업용 로봇은 한국 점유율이 2010년 8.6%에서 4.0%로 떨어진 반면 일본은 18.1%에서 23.2%로 뛰었다.
같은 기간 반도체 디바이스는 한국 점유율이 2.0%에서 0.1%로 하락했으나 일본은 12.1%에서 14.6%로 상승했다.
기어박스는 한국이 4.4%에서 4.1%로 후퇴했으나 일본은 31.3%에서 31.6%로 소폭올랐다.
한편 미국 수입시장에서 한국과 중국의 수출경합도는 2010년 0.290에서 2014년 0.346으로 상승했다.
품목별로는 휴대전화·부품(0.845), 조선(0.558), 전기전자(0.505) 등의 경합도가 높았다.
심혜정 국제무역연구원 연구원은 "미국 수입시장에서 수출 경쟁이 갈수록 치열해지고 있어 핵심기술 강화, 브랜드 이미지 구축, 자유무역협정(FTA) 활용도 제고 등 수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