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위해 대량의 CO₂바다에 저장한다
해수부, 해저 이산화탄소 저장기술 실증사업 추진
(세종=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정부가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해 발전소와 공장등지 에서 배출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해 깊은 바다 퇴적층에 저장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유기준 해수부 장관은 7일 브리핑을 갖고 "국제사회의 이산화탄소 저감노력에 부응하고 정부의 온실가스 감축계획에 맞춰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CCS(Carbon dioxide Capture and Storage) 실증사업을 벌일 것"이라고 밝혔다.
CCS는 화력발전소와 제철소 등에서 대량으로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수송해 800m 이하 해양 퇴적층에 저장하는 기술이다.
국제에너지기구에 따르면 2050년 세계 이산화탄소 감축량의 17%를 CCS가 분담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나라는 2030년 이산화탄소 배출전망치인 8억8천t의 30%인 2억6천만t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 중 3천200만t을 해양 CCS로 처리할 계획이다.
이에따라 해수부는 2005년부터 600억원을 들여 이산화탄소 해양저장지를 확보하고 이산화탄소 수송에 필요한 핵심 공정기술을 개발하고 안전 평가 체계를 구축했다.
내년에 실제로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실증단계로 진입하는 것을 목표로, 해수부는 올해 상반기에 예비타당성 조사를 마칠 계획이다.
유 장관은 "2018년부터는 해저에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선도 국가로 도약하고 연 120조원 규모의 세계 시장도 선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해수부는 파력 발전과 해수 냉난방 등 해양에너지 사업에도 속도를 내기로 했다.
올 상반기에 제주 시험 파력 발전소를 준공해 시범 운영에 들어간다. 성능 검증을 거쳐 항만 시설과 연계한 파력 발전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장기 목표다.
또 연내 수산양식시설 등에 해수 냉난방시스템을 시범적으로 보급하는 사업을 추진한다.
공공기관이 신재생에너지를 설치할 때 해수 냉난방시스템이 이용 가능하도록 관련규정을 개정하는 등 상용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해양 미세 조류에서 추출한 바이오디젤 혼합유를 생산함에 따라 이달 서울·부산 구간에서 실제로 바이오디젤 차량 주행이 가능한지 시험이 실시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