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 농업이 살 길"…농업환경지표 개발
(세종=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농림축산식품부는 친환경 농업의 생산·유통·소비를 내실화하기 위한 '친환경 농업 활성화방안'을 추진한다고 7일 밝혔다.
농식품부는 우선 친환경 농업의 확대에도 농업환경 관리가 부족하다는 인식에 따라 오는 9월 토양·수질 등 농경지의 환경 수준을 파악할 수 있는 '농업환경지표'를 개발해 관리하기로 했다.
단순한 친환경 농산물 공급 확대가 아닌 농업 환경의 기능을 개선하려는 게 목적이다.
농식품부는 농업환경지표와 연계해 환경 개선 효과가 큰 사업 지원을 강화한다.
특히 유통기업과 생산자 간 협약 체결, 공공기관 친환경 급식 확대, 친환경 전용 물류센터 설치 등 안정적인 친환경 농산물 유통·소비 채널 확보에 나선다.
안정적으로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할 기반도 확충한다. 친환경 생산단지에 각종 가공·체험시설을 지원하고 농업인 2천500명을 대상으로 품목별 재배기술과 마케팅 교육을 할 예정이다.
농식품부는 지역별 친환경농업연구센터를 활용한 병해충과 잡초관리 등 연구·개발에 2017년까지 18억 원을 투자한다.
아울러 연말까지 사과·포도·감귤 등 주요 과수의 유기 재배 매뉴얼을 개발해 보급하고, 저농약 농가가 유기농·무농약 농가로 전환하도록 지원을 강화한다.
농식품부는 또 소비자 신뢰를 높이기 위해 농약사용 여부 등 품질검사를 확대하는 한편 친환경 농산물 조사에 소비자 단체를 참여시키는 등 인증 심사와 민간인증기관 관리를 강화할 계획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우리 농업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친환경 농산물 수요에 대응하려면 친환경 농업의 확대가 필요하다"며 "친환경 농업의 건전한 발전을 위해 정책적 노력을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