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인조잔디 운동장 개보수, 교육청 절반 `미적'"
서울·경기 등 8곳 '유해판정' 5개월째 공사 시작 안 해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학교 인조잔디 운동장의 유해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지만, 전국 교육청 절반 가량이 문제 학교들에 대한 개보수 공사에 뒷짐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정의당 정진후 의원은 4월 중순 17개 시·도교육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 등을 토대로 인조잔디 운동장을 개보수할 초·중·고등학교가 전국적으로 169개교라고 8일 밝혔다.
경기가 39개교로 가장 많고 서울(25개교), 경남(19개교), 부산(11개교), 울산(10개교), 경북(10개교), 대구(9개교), 강원(7개교), 전남(7개교)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이들 학교의 인조잔디 운동장은 사용이 중단된 상태다.
개보수 공사는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넘지 않는 다른 인조잔디나 천연잔디, 마사토 등으로 새로 조성하는 사업으로 정부의 유해성 점검에 따른 후속조치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작년 하반기 전국 1천37개교 인조잔디 운동장의 유해성을 조사한 결과, 173개교(16.7%)에서 납을 비롯한 중금속과 발암물질 등의 유해물질이 기준치를 넘었다.
17개 교육청 가운데 대구, 인천, 대전, 울산, 세종, 강원, 충북, 충남, 전남 등 9개 시·도는 인조잔디 개보수 공사를 시작했다.
반면 서울, 경기, 경북 등 나머지 8개 교육청은 유해판정을 받은 학교에 대해 개보수 공사를 하지 않고 있다.
이들 교육청은 중앙정부의 관련 예산이 교부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공사를 미루고 있다고 정 의원은 설명했다.
개보수 공사는 학교당 3억원으로 교육부와 문화체육관광부가 절반씩 부담하지만, 아직 교육청과 학교에 교부되지 않은 상태다.
그러나 교육부는 지난 3월 각 교육청에 개보수 예산 지원액을 확정했다며 예산 절차를 진행하라는 공문을 보냈다.
정진후 의원은 "8개 교육청이 작년 12월 말 유해판정이 나온 학교에 대해 5개월째 개보수 공사를 시작하지 않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며 "학생들의 안전과 건강을 생각하면 교육청 자체예산으로 신속히 조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