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AP=연합뉴스) |
홍콩방문 미국 의원들 "미국, 홍콩시위 개입 안했다"
미국 외교위 의원들, 홍콩수반 주장 반박…"홍콩 헌법개혁 예의주시"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홍콩을 방문한 미국 의원들이 작년 홍콩에서 벌어진 도심 점거 민주화 시위에 미국이 개입하지 않았다며 렁춘잉(梁振英) 홍콩 행정장관(행정수반)의 외세 개입설을 반박했다.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대표단은 9일(현지시간) 밤 발표한 성명에서 "렁 장관이 작년 홍콩 시위에 미국 정부가 영향을 미쳤다고 주장했지만, 홍콩에서 여러 차례 면담을 통해 미국이 센트럴 점령 시위에 아무런 역할을 하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밝히는 기회를 가졌다"고 밝혔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이 10일 보도했다.
앞서 렁 장관은 8일 행정장관실에서 맷 새먼 미국 하원 외교위원회 아시아·태평양소위원장과 톰 에머 의원(이상 공화당), 앨런 로웬솔 민주당 의원 등 외교위원회 소속 의원 3명과 가진 면담에서 79일간의 민주화 시위 배후에 외세가 있다는 증거가 있다는 주장을 되풀이했다.
의원들은 지난 7일부터 홍콩을 방문해 렁 장관 등 홍콩 정계 주요 인사와 홍콩 행정장관 선거안 개정 등을 논의했다.
새먼 의원은 8일 홍콩 입법회(국회격) 의원들과의 면담에서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 개혁안과 관련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빵 반 덩어리라도 없는 것보다는 낫다"고 말했다. 홍콩의 자치와 민주주의를 중시하는 범민주파 의원들에게 정치적 제한이 있는 선거안이라도 수용하는 것이 낫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받아들여진다.
범민주파는 2017년 행정장관 직선제안이 후보 추천위원 1천200명의 과반으로부터 지지를 얻는 예비후보 2∼3명에게만 최종 후보 자격을 부여하고 있어 반(反) 중국 성향 인사의 입후보를 차단할 수 있다며 선거안 철회를 요구하는 도심 점거 시위를 벌인 데 이어 최근 입법회(국회격)에서 선거안을 부결시키겠다고 다짐했다.
한편, 미국 의원들은 성명에서 "홍콩에 정치적으로 중요한 시기에 중국 당국이 정부의 '일국양제'(一國兩制·한 국가 두 체제) 체제를 어느 정도까지 존중하는지를 완전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다가올 홍콩 헌법 개혁을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당국은 작년 11월 영국 하원 외무위원회 산하 홍콩 민주화 상황 조사단의 홍콩 입국을 허락하지 않았지만, 미국 의원들의 입국에 대해서는 별다른 조처를 하지 않았으며 태도 표명도 하지 않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