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평양 순환구역 소재 강건 종합군관학교 사격장 (서울=연합뉴스) 북한 인민무력부장 현영철이 4월30일경 비밀리에 숙청됐다. 현영철이 평양 순환구역 소재 강건 종합군관학교 사격장에서 고사총으로 총살됐다는 첩보도 입수됐다. 사진은 미국 북한인권위원회(HRNK)가 공개한 지난해 10월 7일 강건 종합군관학교에서 대공포를 이용해 공개처형을 집행하는 모습이 찍히 위성사진. 왼쪽 사진에는 흐릿하게 늘어선 대상자와 맞은편의 대공포가 보이고, 같은 달 16일에 찍힌 오른쪽 사진에는 공터가 텅 비어있다.(연합뉴스 자료사진) |
"사람에게 고사총을"…北 김정은 공포정치 심화(종합)
잔혹함 극대화해 복종 강요…부메랑 될 가능성도
(서울=연합뉴스) 이영재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특유의 '공포정치'가 날로 강도를 더해가는 것으로 보인다.
국가정보원이 13일 밝힌 현영철 인민무력부장의 처형 방식은 현대 문명국가에서 자행됐다고는 보기 어려울 정도로 잔혹하다.
평양 강건종합군관학교 사격장에서 주민 수백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고사총으로 공개 처형했다는 첩보가 있다는 것이다.
고사총은 저공 비행하는 항공기나 헬기를 요격하는 데 쓰이는 대공 무기로, 구경 14.5㎜에 분당 1천200발을 발사할 수 있다. 사람을 직접 겨냥해 발사하는 무기가 아니다.
이 같은 고사포로 현영철 인민무력부장을 공개 처형했다는 것은 잔혹함을 극대화해 공포를 유발하는 효과를 노린 것으로 볼 수 있다.
현영철과 같이 김정은 제1위원장에 대한 '불경'과 '불충'을 저지른다면 누구든 처참한 죽음을 맞을 것이라고 모든 주민에게 경고한 셈이다.
마원춘 국방위원회 설계국장, 변인선 군 총참모부 작전국장, 한광상 노동당 재정경리부장 등 한때 김정은 정권의 핵심 실세로 통하던 간부들도 숙청된 것으로 확인됐다.
김 제1위원장이 공포정치를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국정원은 지난달 말에도 김 제1위원장이 올해 들어 내각 임업성 부상을 포함해 고위 간부 15명을 처형했다고 밝혔다.
음란 동영상 추문에 휘말렸던 은하수관현악단의 경우 총감독을 비롯한 4명이 지난 3월 간첩 혐의로 총살된 것으로 확인됐다.
김정은 정권의 2인자로 군림하다가 2013년 12월 처형된 장성택도 잔인한 방식으로 처형됐을 가능성이 크다.
당시 북한이 공개한 사진에서 장성택의 입과 손등에는 멍으로 보이는 상처가 포착돼 그가 조사 과정에서 구타당했을 것으로 관측됐다.
장성택이 화염방사기로 처형됐다는 설도 나돌았으며 일부 외신은 장성택이 굶주린 사냥개들에 물어뜯겨 숨졌다고 보도하기도 했다.
김정은 제1위원장이 간부들을 처형하는 방식뿐 아니라 처형의 사유도 공포정치의 전형적인 면모를 보여 준다.
국정원이 밝힌 현영철의 처형 사유는 김 제1위원장에 대한 불만 표출, 지시 불이행, 공개석상의 졸음 등이다.
'체제 전복 기도'와 같이 엄중한 사유와는 거리가 먼 것들을 문제 삼아 처형한 것은 김 제1위원장에 대한 지극히 사소한 '불충'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메시지로 볼 수 있다.
이 같은 분위기에서 김 제1위원장은 그 누구도 반대 목소리를 내지 않는 전근대적 왕정의 제왕과 같은 존재가 될 수밖에 없다.
김 제1위원장의 공포정치는 부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는 달리 충분한 준비 없이 미숙한 어린 나이에 최고지도자에 오른 것과도 무관하지 않다.
간부와 주민들의 자발적인 충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극도의 잔혹한 통치에 의존해 공포를 유발하고 복종을 강요하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김 제1위원장의 공포정치는 그에게 부메랑으로 돌아갈 가능성이 크다.
르네상스기 이탈리아의 정치사상가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경고했듯 극도의 공포정치는 반드시 증오를 낳고 증오는 반체제적 움직임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국정원도 이날 북한의 간부들 사이에서 김 제1위원장의 지도력에 대한 회의론이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관측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