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내무 이어 중앙은행 총재도 반(反)이민 발언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14 20:22:44
  • -
  • +
  • 인쇄
기자회견서 "더딘 임금상승은 일부분 이민자 증가 탓"


영국 내무 이어 중앙은행 총재도 반(反)이민 발언

기자회견서 "더딘 임금상승은 일부분 이민자 증가 탓"







(런던=연합뉴스) 황정우 특파원 = 영국 내무장관이 지중해 난민 모두가 진정한 '난민'이 아니라고 발언한 데 이어 이번에는 중앙은행(BoE) 총재가 반 이민자 정서를 자극하는 발언을 해 논란이 되고 있다.

마크 카니 BoE 총재는 13일(현지시간) BoE의 정례 소비자물가 보고서 공개 뒤가진 기자회견에서 이민자 문제가 경기 회복의 위험 요인이 되고 있다는 취지로 발언했다.

카니 총재는 "최근 수년간 노동시장에서 공급이 상당히 확대됐는데 이는 일부분 순 이민자 수 증가에 따른 것"이라며 "이런 노동시장 공급 쇼크가 고용이 탄탄한 성장을 보이는 국면에서 임금 상승을 억눌러왔다"고 말했다.

이어 "이런 가라앉은 임금 상승률이 지속되고 있다는 것이 (경제에) 핵심 위험"이라고 덧붙였다.

고용이 늘고 있는데도 순 이민자 수 증가 탓에 임금이 더디게 오르고 있다는 것이다.

같은 날 발표된 통계청 실업 통계에 따르면 지난 1~3월 영국 실업률은 5.5%를 기록했다. 하향 추세를 이어가며 7년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그럼에도 임금상승률은 1.9%로 금융위기 이전의 연평균 4.25% 수준을 크게 밑돌고 있다. 1~3월 민간 부문 임금상승률은 2.4%로 나타났다.

BoE는 소비자물가 보고서에서 "순 이민자수 전망은 매우 불확실하다"면서 "이는영국 경제의 (유럽에 대한) 상대적인 성장 실적과 영국 정부의 정책 등 수많은 요인들에 좌우될 것"이라고 적시했다.

지난해 영국 순이민자 수는 역사적 고점에 가까운 29만8천만 명을 기록해 통계청이 전망한 연간 평균치 16만5천명을 크게 웃돈다고 BoE는 소개했다.

BoE는 지난해 2.8%를 기록한 영국 경제성장률이 올해와 내년 2.5%, 2.6%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지난 2월 전망보다 0.3~0.4%포인트 낮은 수치다.

보수당 데이비드 캐머런 총리는 이번 총선에서 유럽연합(EU) 역내 이민자들이 복지 혜택이나 주택지원 수당 등을 신청하려면 4년을 기다리도록 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 이민 억제 조치들을 공약했다.

보수당은 이 공약을 이행하려면 EU 협약 개정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가운데 동유럽 국가들이 영국의 EU 협약 개정 추진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앞서 테레사 메이 영국 내무장관은 지중해 난민 수색·구조 활동과 EU에 머물도록 하는 조치는 분리해야 한다면서 지중해를 넘는 이들이 모두 난민은 아니라고 말했다.

메이 장관은 지중해 난민 중 경제적 목적으로 지중해를 넘는 이민자들은 고국에 돌려보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EU 집행위원회가 지중해 난민 참사 대책 중 하나로 내놓은 난민 강제 할당을 거부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