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무섭게 해외기업 M&A…징기스칸처럼 유럽 공략
올들어 유럽기업 대상 M&A 167% 급증
(서울=연합뉴스) 정선미 기자 = 중국의 해외기업 인수합병(M&A) 열풍이 올해도 지속되고 있다.
특히, 중국기업들은 주식시장에 물밀듯이 들어온 막대한 자금을 토대로 유럽 등에서 빠른 속도로 기업들을 사들이고 있다.
◇올해 해외 M&A 지난해 기록 넘어설듯
컨설팅업체 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PwC)가 지난달 말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분기 중국기업들의 해외(outbound) 기업 인수합병은 36% 급증한 202억달러로 집계됐다.
이 기간에 체결된 인수건은 전년대비 33% 증가한 77건으로 민간 기업이 M&A 건수의 68%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PwC의 앤드류 리 중국 담당 자문은 "중국 정부가 해외 투자를 독려해옴에 따라 이런 M&A 증가추세는 올해도 계속돼 지난해 기록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난해에는 246건의 M&A가 성사돼 전년 대비 32% 증가했으며 그 가치는 모두 550억달러에 달했다.
리 자문은 민간 기업들이 기술력과 지적재산권, 유명한 브랜드를 중국으로 들여오는 것을 목표로 함에 따라 "IT와 이동통신, 소매업종이 민간기업들이 주목하는 가장 인기있는 업종이었다"고 말했다.
PwC는 중국의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 프로젝트 덕분에 해외 M&A의 관심은 인프라와 관련 산업으로 옮겨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해 중국의 M&A는 주로 미국과 유럽을 겨냥해 이뤄졌으며, 아시아에서는 세번째로 많은 딜이 성사됐다.
◇유럽투자 광폭 행보
올해 중국은 유럽에 대한 투자를 크게 늘렸다. 아시아와 북미 투자 규모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17일 기준 올해 중국 기업들의 지분투자를 포함한 해외 기업 M&A 규모는 모두 497억달러, 291건(인수 발표후 미체결건 포함)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유럽을 대상으로 한 M&A는 216억 달러로 전년대비 166.7% 늘었고, 아시아태평양지역은 150억달러로 22.3% 증가했다.
북미지역은 106억달러로 집계돼 7.7% 증가하는데 그쳤다.
올해 초에는 유럽 대기업에 대한 중국 기업들의 공략이 두드러졌다.
지난 3월 중국 국영 화학업체인 켐차이나(CNCC)는 매출 기준 세계 5위인 이탈리아 타이어업체 피렐리의 지분 26%를 사들이기로 했다.
한달 앞선 2월에는 중국 푸싱(復星) 그룹이 프랑스의 세계적 리조트 운영 그룹인 클럽메드를 인수했다.
푸싱그룹은 이달에는 미국의 보험회사 아이언셰어의 지분 80%를 18억5천만달러에 인수하겠다는 계획을 밝히기도 했다.
중국 안방(安邦)보험은 독일 굴지의 부동산 업체 매입도 추진하고 있다.
안방보험은 뮌헨 소재 국영 하이포리얼 에스테이트와 부동산대출 부문 계열사인 PBB를 인수하는 안을 논의하고 있으며 PBB의 가치는 12억유로에서 18억유로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IT업종 M&A 행보는 이제 시작
전문가들은 특히 중국 IT업체들의 M&A 행보가 본격적으로 시작했으며 이런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IT기업 간 경쟁이 극심해짐에 따라 해외에서 새로운 기술을 확보하려는 노력이 실탄을 쥔 기업들을 M&A 시장으로 뛰어들게 할 것으로 이들은 내다봤다.
레드테크 어드바이저스의 마이클 클렌데닌 창립자는 18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를 통해 "일부에서는 정부가 국내 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투자에 나서라고 독려함에 따라 이런 흐름을 주도했다고 말하고 싶겠지만 실제로 그렇지 않다"고 지적했다.
그는 중국의 기업들이 사업 목표를 달성하는 데 도움을 줄 만한 자원을 찾고 있으며 이런 기회가 세계 각지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IT기업의 대표적인 투자사례로는 지난해 말 중국의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가 차량 공유서비스 우버에 6억달러를 투자한 것과 레노보가 29억달러를 들여 모토로라 모빌리티를 인수한 것 등이 있다.
전문가들은 IT업종을 중심으로 몰려있던 민간 기업에 대한 규제가 어느 때보다 느슨해지는 가운데 국내의 경쟁이 극심해지면서 최신의 기술력을 유지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고 분석했다.
이들은 특히 다른 업종보다 IT기업들의 경영진이 상대적으로 젊어 글로벌 시장과 잘 어울리고 있다고 말했다.
또 해외기업들은 중국 자본에 대해 더 수용적인 입장이라고 이들은 덧붙였다.
다만 IT업종이 지난해 이례적으로 많은 규모의 투자에 나섬에 따라 올해는 작년만큼 활발한 M&A가 일어나지는 않을 가능성도 점쳐졌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