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사무총장 "세계유산제도, 회원국 통합 기여해야"(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19 18:12:26
  • -
  • +
  • 인쇄
日세계유산 추진 관련 "대화 통한 해결에 응분 역할할 것"
윤병세 "강제노동 역사외면…日 일방적 등재 추진 안돼"
△ 윤병세, 유네스코 사무총장 접견 (서울=연합뉴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19일 인천 송도의 오크우드 호텔에서 방한 중인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과 환담하고 있다. 윤 장관은 비공개로 진행된 이날 면담에서 일본의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한 우리 정부의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2015.5.19 << 외교부 제공 >> photo@yna.co.kr

유네스코 사무총장 "세계유산제도, 회원국 통합 기여해야"(종합)

日세계유산 추진 관련 "대화 통한 해결에 응분 역할할 것"

윤병세 "강제노동 역사외면…日 일방적 등재 추진 안돼"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방한 중인 이리나 보코바 유네스코 사무총장은 19일 조선인 강제노동 시설이 포함된 일본의 근대산업시설 세계유산 등재 추진과 관련해 "세계유산 제도가 유네스코 회원국들의 통합에 기여해야 한다"고 밝혔다고 외교부가 전했다.

보코바 총장은 이날 인천 송도의 오크우드 호텔에서 열린 윤병세 외교부장관과의 면담에서 "여러 경로를 통해 (일본의 세계유산 등재추진과 관련한) 한국 측의 우려를 잘 알고 있고, 한국 측의 제안으로 한일 양자협의가 개최되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보코바 총장은 이와 함께 "대화를 통해 긍정적 해결책을 찾을 수 있도록 응분의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일본이 올해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메이지 산업혁명 시설을 강제노동이 자행된 역사는 외면한 채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려 한다"고 지적하고, 보코바 총장에게 "이 문제에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

윤 장관은 특히 "세계유산은 인류 전체를 위한 것으로 역사적 진실에 입각해야 하며, 기술적 내용뿐 아니라 인권적인 측면을 고려해 논의해야 한다"면서 "일본의 일방적인 등재추진으로 세계유산위원회가 분열되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보코바 총장이 세계유산 등재와 관련해 실질적인 권한은 없지만 우리 정부 입장을 국제사회에 환기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날 면담이 의미가 있다.

일본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놓고 한일간 치열한 외교전이 시작된 것이다.

우리 정부는 등재 최종 결정권을 쥔 세계유산위원회 위원국들을 상대로 적극적인 설명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또 보코바 총장의 방한기간(19~22일) 예정된 박근혜 대통령 예방, 정의화 국회의장,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나경원 국회 외교통일위원장 등과의 면담 계기를 적극 활용할 것으로 관측된다.

일본도 지난 8일 이후 내각부, 외무성, 문부과학성 등이 정무관과 부대신 6명을 10개국에 파견했으며 17일에는 나카야마 야스히데(中山泰秀) 일본 외무 부(副)대신이 위원회의 부의장국인 자메이카로 출발했다.

정부는 강제노동 사실을 외면한 채 단순히 산업혁명 시설로 미화하는 것은 또 하나의 역사왜곡이 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정부는 일본 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자체를 막지는 못하더라도 결정문에 관련 내용 적시 등을 포함해 어떤 식으로든 관련 내용이 반영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오는 22일 도쿄에서 예정된 한일간 양자협의에서 일본 측의 일방적 등재추진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우리측 입장을 개진할 예정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산하 민간 자문기구인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는 일본이 신청한 23개 근대산업시설에 대해 '등재 권고' 결정을 내렸으며, 이를 바탕으로 6월28일~7월8일 독일 본에서 열리는 제39차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최종 등재 여부가 결정된다.

23개 시설 가운데 7곳이 대일 항쟁기 조선인 강제징용의 한이 서린 시설이다. 이들 7개 시설에 무려 5만7천900명의 조선인이 강제동원됐고 그중 94명이 강제동원 중에 사망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