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민의 허파 '초읍 대공원 청정 숲' 결딴날 위기

이영근 / 기사승인 : 2015-05-20 10:09:51
  • -
  • +
  • 인쇄
부산시 재정비 빙자 휴양·놀이시설 개발 강행…도시관리계획 변경 고시


[부산부자동네타임즈 이영근기자]  부산시가 재정비를 명분으로 부산시 부산진구 초읍 어린이대공원(성지곡수원지 유원지) 개발에 나서 원시림처럼 울창한 청정 숲을 자랑해온 부산시민의 허파가 결딴날 위기에 처했다.

부산시는 어린이대공원 재정비를 위한 '도시관리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을 20일 고시했다.





애초 '자연친화형 놀이동산 조성계획'이란 이름으로 시작된 이번 어린이대공원 재정비 사업은 그동안 환경단체로부터 '자연친화형 재정비'가 아닌 '자연경관을 훼손하는 난개발'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날 고시된 공원 세부시설 조성계획은 환경단체의 우려대로 부산시 부산진구 초읍동 일원 498만530㎡의 대공원 부지 내 각종 시설면적을 기존 39만2천355㎡에서 43만2천974㎡로 확장하는 것이 주된 내용이다.

여기에는 기존 2만7천984㎡에 불과하던 휴양시설을 6만4천721㎡로 대폭 늘리는 내용이 포함됐다.

또 각종 놀이시설을 설치하기 위해 유희시설 면적도 기존 3만1천122㎡에서 3만2천348㎡로 확장하는 내용도 있다.

부산시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되면 대공원 녹지는 기존 458만8천174㎡에서 451만4천315㎡로 줄어들게 된다.

현재 대공원 내 휴양시설은 경로당(1천500㎡), 야영장(2만6천484㎡)뿐이다.

하지만 부산시는 숲을 개발해 힐링데크(2천920㎡), 트리 하우스(138.54㎡), 스카이 워크(678.31㎡), 삼림욕장(3만3천㎡) 등 각종 휴양시설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유희시설도 가족놀이공원이란 명목으로 각종 놀이터를 시설할 방침이다.

그동안 특혜 논란을 빚었던 대공원 내 민간동물원 확장 건은 이번 고시에서는 제외했다.

지역환경단체 등은 이번 재정비 계획은 특혜시비 등 온갖 논란을 불러 일으킨 졸속 계획이라며 특히 지은 지 40년이 넘어 증·개축이 시급한 어린이회관이 어린이대공원 핵심 시설인데도 대공원 재정비가 목적인 이번 계획에서 빠졌다며 재정비 계획이 누구를 위한 사업인지 의문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부산시는 어린이대공원을 명품공원으로 재정비하겠다고 하면서도 어린이대공원 내 민간동물원의 산림 무단벌목 의혹과 각종 불법 시설물에 대해서는 모르쇠로 일관하다 환경단체에서 검찰에 수사를 의뢰하자 뒤늦게 동물원 측에 원상복구를 명령하는 등 어린이대공원 관리와 운영에 있어 시민 불신을 자초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