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미국 우체국, 금융업 진출검토 논란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이메일 시대'를 맞아 존폐의 갈림길에 선 미국의 우체국(USPS)이 돌파구의 하나로 금융업 진출을 검토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미 의회전문지 '더 힐'(The Hill)에 따르면 미 우체국은 이날 금융업 진출 제안에 관한 내부 백서를 공개했다.
신용조합 등과 협력해 선불카드나 소액대출 등의 소규모 금융서비스 업무부터 시작하겠다는 것이 제안의 골자다.
미 전역의 우체국이 본연의 우편물 취급 업무과 더불어 일종의 소매금융 창구 기능을 겸하는 것이다.
우체국의 이 같은 구상은 이메일이 대세로 자리 잡은 인터넷 시대에 기존의 전통 우편은 설 자리가 없다는 절박감에 따른 것이다. 실제 미 우체국은 지난해에 55억 달러(약 6조764억 원)의 적자를 낸 것으로 알려졌다.
우체국 감사관실은 자체 분석 보고서에서 "우체국이 금융업에 진출하면 은행계좌가 없거나 단기 고금리 대출에 의존해야 하는 6천800만 명의 소외계층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면서 "이와 동시에 우체국의 새로운 수익창출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우체국의 이 같은 구상에 찬반양론이 있지만, 상대적으로 반대 의견이 많아 우체국의 금융업 진출이 현실화될지는 미지수다.
민주당의 대선 잠룡 중 한 명인 엘리자베스 워런(매사추세츠) 상원의원은 최근 우체국이 고금리 대출업자들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면서 "우체국이 금융업에 진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미독립지역은행가협회(ICBA)나 소비자은행가협회(CBA) 등 금융업계에서는 "연방기관의 금융업 진출은 부적절하다", "규제 상의 여러 심각한 문제를 초래한다"며 강력히 반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