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협상 시한 한달 앞…미국·이란 '팽팽한' 줄다리기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5-30 18:09:30
  • -
  • +
  • 인쇄
"이란 군시설 사찰 막판 쟁점"


핵협상 시한 한달 앞…미국·이란 '팽팽한' 줄다리기

"이란 군시설 사찰 막판 쟁점"



(두바이=연합뉴스) 강훈상 특파원 = 이란과 주요 6개국(유엔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독일)이 다음달 말로 합의한 핵협상 시한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양측의 협상도 더욱 팽팽하게 진행되고 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과 모하마드 자바드 자리프 이란 외무장관은 30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만나 쟁점을 놓고 협상 테이블에 앉는다.

이번 협상엔 어니스트 모니즈 미 에너지장관과 웬디 셔먼 미 국무부 정무차관, 압바스 아락이 이란 외무차관 등 실무급 협상 책임자도 참여한다.

미 국무부는 29일 "이제 한 달 남았다"며 "6월은 매우 집중적인 협상이 이뤄질 것이며 두 장관의 내일 상당히 어려운 사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자리프 장관도 전날 제네바에 도착해 "막판 조건을 협상하고 결론 내릴 것"이라며 "협상 초기부터 제기했던 요점과 원칙을 강조하겠다"고 말했다.

여전히 양측이 이견을 보이는 쟁점은 크게 두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이란의 핵프로그램을 어떻게 제한할 것인지와 대(對)이란 경제 제재의 해소 방법이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들어가면 이란의 핵프로그램 사찰 방법과 수위와 제재 해소 시기를 둘러싸고 양국의 견해차가 여전하다.

미국은 제한없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을 요구하는 반면 이란은 다른 나라에 준하는 통상적 사찰을 해야 하고 특히 군시설은 사찰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란에 강경한 프랑스의 로랑 파비우스 외무장관은 27일 "IAEA가 이란 군시설에 접근할 수 없다면 어떤 협상안도 받아들일 수 없다"고 강조했다.

미국은 사찰을 통해 핵무기 제조 기술로 전용될 수 있는 핵기술 연구·개발까지 제한하려고 한다. 이란이 군시설에서 수년간 비밀리에 핵기술을 연구·개발해왔던 만큼 IAEA의 사찰 대상에 포함돼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반면 이란은 군사적 목적이 아니라면 이를 최대한 보장받아야 한다고 맞선다.

또 대이란 제재와 관련, 미국은 이란의 합의 이행 상황을 보고 이에 따라 단계적·가역적으로 풀어야 한다는 입장이지만 이란은 '협상안에 서명하는 즉시, 영구적으로' 해제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