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2015년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현장 |
재난 전담부서 없앤 후 경기북부 화재 사망자 81% 늘어
소방안전체험시설도 없어…사상자 117명 증가, 올해 더 늘듯
(의정부=연합뉴스) 권숙희 기자 = 경기도 북부지역에 재난대비 전담 부서가 폐지된 2013년 말 이후 화재 피해 사상자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경기도북부소방재난본부에 따르면 2014년 '고양 터미널 참사'를 비롯한 화재로 이 지역에서 38명이 죽고, 288명이 부상했다.
2013년엔 각각 21명과 188명이던 화재 사상자 수가 2014년 들어 대폭 늘어난 것이다. 사망자는 81%(17명), 부상자는 53%(100명) 증가했다.
게다가 지난 1월 세간의 안타까움을 샀던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 사상자가 이미 140여 명에 달하는 것을 고려하면, 올해는 그 수가 더 늘 것으로 전망된다.
두 해 연속 대형 화재를 겪는 등 피해가 커졌음에도 경기북부지역엔 재난대비 전담 부서가 전혀 없다.
2013년 말 조직 개편으로 방호구조과가 폐지되고 경기소방본부로 기능이 모두 넘어갔다.
이후 북부지역의 예방점검이나 구조구급 등 재난대비 기능은 크게 약해졌다.
특히 지역 특성에 맞는 화재·구조·구급대책이나 훈련계획을 세우기란 거의 불가능해졌다.
인구 규모가 비슷한 전국 시·도 소방본부와 비교하면 상황의 심각성이 더욱 도드라진다.
인구 329만명의 경기북부엔 재난대비 전담부서 자체가 없어 관련 인력이 0명이다.
반면에 인천(296만명)에선 44명, 충남(210만명)에선 27명, 경북(275만명)에선 22명이 예방안전과 또는 방호구조과 등에 배치돼 근무하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화재진압이나 응급처치 등을 배우는 소방안전 체험시설 또한 경기 북부엔 하나도 없다.
전국에 설치된 체험시설 71곳 중 4곳이 경기도에 있는데 그나마 수원, 양평, 의왕, 안양 등 경기 남부에만 있다.
겹겹의 규제로 낙후된 북부지역이 안전에서도 소외받고 있는 셈이다.
도지사의 '북부사랑' 선언에도 서울과 한강을 경계로 경기도 남부와 북부의 사는 형편의 격차는 여전하다.
북부지역을 경기도에서 분리 독립시켜야 발전할 수 있다는 '분도(分道)론'이 끊이지 않는 이유 중의 하나다.
이 같은 문제 제기에 따라 경기도북부소방본부는 의정부소방서와의 통합 청사 신설 및 조직 확충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그러나 번번이 예산 부족을 이유로 좌절됐다.
청사 이전 문제는 최근에서야 부지사의 승인이 났다. 남경필 경기지사의 결재만을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김원기 도의원(새정치민주연합·의정부시4)은 "소방 행정, 인력, 장비가 모두 경기남부에 집중돼 있다"면서 "이른바 '골든타임'을 지켜 주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려면 이러한 문제들이 해결돼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현재 경기북부소방본부는 KT 건물에 세들어 있어 소방관들이 매우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선 북부소방본부 청사를 의정부 광역행정타운으로 이전하고 인력과 장비를 제대로 갖출 수 있는 공간부터 확보한 뒤 각종 제도적 미비점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