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선 '톈안먼' 들어간 단어 검색 차단
![]() |
△ 톈안먼 사태 26주년, 긴장감 도는 '톈안먼 광장' (베이징=연합뉴스) 홍제성 특파원 = 톈안먼(天安門) 사태가 일어난지 꼭 26주년이 되는 4일 톈안먼 광장을 비롯한 베이징(北京) 도심 곳곳은 보안과 경계가 크게 강화돼 긴장감이 감돌았다. 톈안먼과 톈안먼 광장에는 공안과 무장경찰들이 대거 배치돼 방문객들의 행동을 살피며 고강도의 보안 경계수위를 유지하고 있었다. 2015.6.4 jsa@yna.co.kr |
톈안먼 사태 26주년…고강도 경계로 긴장감 도는 '광장'
보안·통제 수위 높여…재평가 요구도 일축
인터넷에선 '톈안먼' 들어간 단어 검색 차단
(베이징=연합뉴스) 홍제성 특파원 = 톈안먼(天安門) 사태가 일어난 지 꼭 26주년이 되는 4일 톈안먼 광장을 비롯한 베이징(北京) 도심 곳곳은 보안과 경계가 크게 강화돼 긴장감이 감돌았다.
이날 낮 찾아간 베이징 '심장부'인 톈안먼과 톈안먼 광장에는 공안과 무장경찰들이 대거 배치돼 방문객들의 행동을 살피며 고강도의 보안 경계수위를 유지했다.
관광객과 시민의 출입 자체는 평소처럼 허용됐지만, 광장 곳곳에 설치된 X레이 보안검색대를 통과하지 않고는 들어갈 수 없도록 통제됐다.
공안 차량과 교통경찰, 무장경찰, 보안요원들이 평소보다 많이 배치돼 관광객이나 시민이 돌발 행동을 하지는 않는지 철저히 감시했다.
톈안먼 주변 외에도 왕푸징(王府井), 둥단(東單) 등 번화가에도 경찰차량과 현장 지휘센터가 곳곳에 눈에 띄었고 순찰에 나선 경비병력의 모습도 자주 눈에 띄었다.
정복을 입은 공안뿐 아니라 사복 공안도 대거 배치돼 거동이 수상해 보이는 이들에게 신분증을 보여달라고 수시로 요구하기도 했다.
이날은 비가 추적추적 내리는 궂은 날씨 탓에 평소보다 방문객의 발길은 줄어들어 다소 스산한 분위기도 느껴졌다.
중국은 톈안먼 사태 기념일이 다가오면서 추모행사나 세미나 등을 금지하고 반체제 인사들을 가택 연금하거나 강제 여행을 보내는 등의 통제 조치를 취해 왔다.
베이징에선 유가족 모임인 '톈안먼 어머니회' 핵심 회원들에 대한 감시도 강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반체제 인사들에 대한 통제조치는 베이징뿐만 아니라 산시(陝西), 후난(湖南), 광시(廣西)장족자치구 등 지방 곳곳에서도 이뤄졌다.
중국 당국은 또 대학 캠퍼스와 톈안먼 사태 당시 시위가 열렸던 베이징 및 지방도시의 주요 지역에서도 경비를 강화하고 있다.
톈안먼 사태 기념일인 이날 오프라인상은 물론 온라인상에서의 단속과 통제도 더욱 강화되는 모습이었다.
중국 포털사이트와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등 인터넷에서 '톈안먼', '톈안먼 사건', '톈안먼 64' 등의 단어로 검색한 결과 "관련 법률 및 정책에 따라 검색결과를 보여줄 수 없다", "검색어가 법률과 법규에 부합하지 않는 내용일 가능성이 크다"는 등의 메시지가 나오며 검색이 차단됐다.
특히 중국 당국이 인터넷 통제를 강화하는 것과 맞물려 이날은 톈안먼 사태와 관련됐거나 이를 연상케 하는 중국 인터넷의 게시물은 거의 찾을 수 없었다.
이같은 중국 대륙의 모습은 현재 홍콩, 대만 등 중화권과 미국과 영국 등 서방에서는 사태의 재평가 요구와 함께 희생자 추모 열기가 고조되는 것과 상반된다.
톈안먼 사태는 1989년 6월 4일 베이징 톈안먼 광장에서 민주화와 정치개혁을 요구하던 중국 대학생과 시민이 인민해방군에 의해 유혈 진압된 사건이다.
서방에서 공부하는 중국인 유학생들은 사태의 진상 규명을 요구하는 공개서한을 발표하는 등 진상 규명과 재평가를 촉구하는 목소리는 계속되고 있다.
톈안먼 어머니회 창설자인 딩즈린(丁子霖)은 이날 교도통신에 "중국이 역사문제에 대해 이중잣대를 적용하고 있다"며 사태의 진상 규명을 거듭 촉구했다.
대만 역시 중국 정책을 총괄하는 대륙위원회 성명을 통해 26주년을 맞아 사태의 재평가를 촉구하고 나섰다.
그럼에도 중국 정부는 올해도 톈안먼 사태를 '1980년대 말에 일어난 정치적 풍파'로 규정하면서 "이미 명확한 결론을 내렸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최근 2차례의 정례브리핑에서 "1980년대 말 중국에서 발생한 정치적 풍파 및 이와 관련된 모든 문제에 대해 중국의 당과 정부는 이미 일찌감치 명확한 결론을 내렸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26주년을 맞은 톈안먼 사태에 대한 진상 규명과 재평가 요구가 커졌음에도 이를 받아들일 계획이 없음을 명확히 한 셈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