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말 기후변화협약 앞두고 공동성명 등 합의 주목
주요 7개국 정상회의 7일 개막…글로벌 이슈 논의
작년 이어 올해도 러시아 초청 안해…백화점식 논의 예상
연말 기후변화협약 앞두고 공동성명 등 합의 주목
(베를린=연합뉴스) 고형규 특파원 =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가 독일 남부 바이에른주 크륀 지역에서 이틀간 일정으로 7일(현지시간) 개막한다.
올해 의장국 독일은 '생각은 먼저, 행동은 함께'라는 모토를 내걸고 세계경제 현안과 연말 파리 기후변화협약 앞둔 이산화탄소 저감 목표 등 기후변화 대책 논의를 이끌되 여성권리 신장과 에볼라 퇴치도 주요 의제로 테이블에 올렸다.
우크라이나 사태 해법,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 '이슬람국가(IS)' 대처, 이란 핵 문제 해결 마무리 등 작금의 국제정세 전반을 지배하는 글로벌 과제 역시 논의할 전망이다.
이 가운데 그리스 문제는 공식 의제로는 채택되지 않았지만 세계경제 현안 전반을 토의하면서 자연스럽게 거론될 것이라고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5일 dpa 통신 인터뷰에서 밝혔다.
G7 정상회의는 중국과 이웃국가들간 해양 영토분쟁 대응, 동남아 섬유 노동자들의 노동권 증진 등 아시아 권역 의제까지도 망라할 계획이지만, 미국과 함께 G2로까지 불리는 중국은 정작 G7 멤버가 아니어서 제한적일 것으로 보인다.
이번 G7 정상회의에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제재 차원에서 초청 대상에서 제외된 러시아(G8)를 빼고 의장국 독일과 미국, 일본,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캐나다 등 7개국 정상이 참석한다.
메르켈 총리는 독일 특유의 야외 맥주홀에서 맥주와 프레첼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 등 정상 '손님'들을 맞이할 계획이다.
또 글로벌 의제 논의를 위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장-클로드 융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 등 주요 인사들이 가세하고, 국제통화기금(IMF) 등 주요 국제기관이나 기구의 수장들도 함께한다.
나이지리아 등 아프리카 일부 국가 정상들과 이라크 총리 등도 초빙돼 주요 의제를 다룰 것이라고 외신들은 전했다.
메르켈 총리는 작년에 이어 러시아가 또 배제된 데 대해 러시아의 크림 병합이 국제법 위반이라는 전제 아래 "러시아 초청은 생각할 수 없는 일"이라고 말했다.
메르켈 총리는 그러나 G20 등 다른 다자 무대에서 러시아와 논의할 기회가 있을 것이며, 예컨대 시리아 내전 문제 해법은 러시아 없이는 도출되기 어려운 만큼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자신이 접촉을 유지하는 것이라고 dpa에 설명했다.
그는 G7 정상회의에 대한 반대 또는 비판 세력의 집회에 대해 "활력있는 민주주의의 징표로서, 집회할 권리는 더 할 나위없이 중요하다"고 밝히면서도 "다만, 정부와 공권력을 상대로 폭력을 행사하는 데 대해선 경찰이 대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들 세력이 중단을 요구하는 범대서양무역투자동반자협정(TTIP)과 관련해서는 "독일 내에는 아직도 300만 실업인구가 있다"고 전하고 "자유무역협정은 경제성장을 이끌고 일자리를 만들어왔다"고 다른 견해를 밝혔다.
이번 회의를 앞두고 바이에른주 주도 뮌헨에선 4일 3만 여명이 가세한 평화행진이 열려 긴장감이 돌고 있다.
독일 당국은 대도시 뮌헨 외에 회의장인 성(城)엘마우 호텔을 둘러싼 알프스 산자락 마을인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등 주변 곳곳에 경찰 2만 여명을 배치하고 헬기를 포함한 통제, 감시 장비를 동원한 채 삼엄한 경비에 들어간 상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