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행사에 정상·고위급 참석할까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06 12:36:20
  • -
  • +
  • 인쇄
서울·도쿄서 22일 각각 개최…"고위급 참석여부 검토중"
이달 예정 '위안부 8차 협의', 사전 분위기 조성 변수로


한일국교정상화 50주년 행사에 정상·고위급 참석할까

서울·도쿄서 22일 각각 개최…"고위급 참석여부 검토중"

이달 예정 '위안부 8차 협의', 사전 분위기 조성 변수로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기자 =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을 맞아 오는 22일 서울과 도쿄에서 각각 열릴 예정인기념 행사에 양국 정상을 포함한 고위급 인사의 교차 참석 여부가 관심사로 떠오르고 있다.







주일 한국대사관과 주한 일본대사관 측은 50주년 당일인 이날 도쿄와 서울에서 각각 기념 리셉션을 개최할 예정이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과거사 갈등으로 한일관계가 여전히 경색국면을 벗어나지 못한 상황에서 양국이 공동으로 기념식을 개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기대하기 어렵다.

다만, 도쿄와 서울에서 각각 개최되는 양국의 리셉션에 상대 측 고위급 인사가 참석할지 주목된다.

특히 일본 아사히 신문이 지난 4일 '수뇌가 타개로 나아가라'는 제목의 사설에서 촉구한 것처럼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가 서울과 도쿄에서 각각 상대 측의 축하 행사에 참석할지가 관전의 핵심포인트다.

이것이 현실화할 경우 이는 한일 양국이 관계 개선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표시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고, 실제 관계개선으로 이어지는 분위기 조성에도 상당히 긍정적 효과를 낳을수 있다.

양국 정상이 직접 참석은 못하더라도 상대 측 행사에 축하 영상을 보낼 가능성도 제기된다.

특히 일각에서는 아베 총리가 양국관계 개선을 압박하는 차원에서 선제적으로 도쿄에서 열리는 한국 측 행사에 전격 참석할 가능성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아베 총리가 일방적으로 국교정상화 50주년 리셉션에 참석, 박 대통령을압박하려고 할 경우 호응을 끌어내기보다는 오히려 역작용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전 조율 과정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이더 설득력을 얻고 있다.

양국 정상의 참석이 부담스럽다고 판단한다면 외교부 장관이나 차관 등 고위급 인사의 참석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윤병세 장관이 일본을 전격 방문해 한일 외교장관 회담을 여는 것도 하나의 시나리오로 상정할 수 있다.

정부 당국자는 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22일 양국 수도에서 개최되는 50주년 리셉션과 관련, "고위급 참석 여부는 검토 중이지만 결정된 바 없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양국 정상이나 외교장관이 관계개선을 위해 움직이려면 사전에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하지 않겠느냐는 신중론 또한 만만치 않다.

박 대통령은 6일 제60주년 현충일 추념사에서 "종군 위안부 문제와 같은 과거의 역사적 진실문제와 영토 분쟁 등으로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이런 어려움에 굴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의 힘으로 반드시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혀 한일관계에 대한 원칙적 입장을 거듭 확인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이런 측면에서 이르면 22일 이전에 열릴 것으로 관측되는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양국 국장급 8차 협의가 주목된다.

양측이 위안부 협의에서 진전을 보면 여세를 몰아 국교정상화 50주년 이벤트를십분 활용해 관계개선의 교두보로 삼을 수도 있지 않겠느냐는 것이다.

더 나아가 위안부 문제 협의와 한일 국교정상화 50주년, 8월 아베 총리의 아베 담화가 선순환 효과를 내면 양국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도 가시권에 들어올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아베 총리가 위안부 문제를 비롯해 과거 식민지배에 얼마나 진정성과 성의를 보일지가 관건이라는 분석에 힘이 실린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