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G7회의서 '대러시아 경제제재 지속' 주문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08 00:37:13
  • -
  • +
  • 인쇄
우크라 정부군에 무기 공급에는 여전히 회의적
△ EPA/ROBERT MICHAEL / POOL

오바마, G7회의서 '대러시아 경제제재 지속' 주문

우크라 정부군에 무기 공급에는 여전히 회의적



(워싱턴=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 독일에서 이틀 일정으로 7일(현지시간) 개막한 서방선진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최대 과제는 단연 우크라이나 무력 분쟁에 책임이 있는 러시아에 대한 압박을 지속하는데 한목소리를 끌어내는 것이다.

당장은 러시아에 대한 서방의 경제 제재를 이어가겠다는 것이 오바마 미국 정부의 입장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나의 친러시아 분리주의 반군에 중화기를 제공하는 등 우크라이나 사태를 촉발한 데 대한 제재 차원에서 2년 연속 G7 정상회의 초청 대상에서 제외됐다.

정상회의가 열리는 독일 바이에른 주 휴양지 마을 크륀에 도착한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현지 주민들과 만나 우크라이나 사태의 해법을 마련하는 것이 이번 회의의 '톱 어젠다'라고 밝혔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정상회담을 하고 대러시아 경제 제재를 이어간다는 데 뜻을 같이한 데 이어, 다른 정상들과도 잇따라 만나 러시아에 대한 경제 제재 연장을 요청할 것으로 전해졌다.

백악관은 미·독 정상회담 후 한 브리핑에서 "두 정상이 우크라이나의 현 위기 상황을 논의하고 대러 제재는 '민스크 협정' 합의 사항과 우크라이나 영토 보전에 대한 러시아의 완전한 이행이 명백하게 연계돼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또 로즈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은 언론에 경제 제재에도 러시아의 태도가 크게 바뀌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서방의 제재는 러시아 경제에 막대한 타격을 줄 것인 만큼 이러한 압박이 지속되는 게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러한 조처가 루블화를 약화시킬 게 분명하며 궁극적으로 러시아 국민의 불만을 야기함으로써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의 기반을 흔들 것이라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미국 정부는 우크라이나 정부군에 대한 무기 공급에는 여전히 회의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일각에서는 지난 2월 민스크 휴전협정 체결이후 처음으로 지난 3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 시에서 정부군과 반군 간에 중화기가 동원된 최대 교전이 발생하면서, 전면전 재개 가능성도 나오는 만큼 정부군에 대한 무기 공급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오바마 대통령은 이라크에 지상군 파견을 꺼리는 것처럼, 우크라이나 정부군에 직접 무기를 지원하는 것에는 여전히 소극적이다.

조 바이든 부통령은 지난달 "무기공급은 여전히 고려 중"이라고 했고 애슈턴 카터 국방장관 등도 무기공급 가능성을 공공연히 제기했으나, 오바마 대통령은 이미 휴전협정까지 체결된 상황에서 무기 공급을 하게 되면 무력 충돌을 악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메르켈 총리를 비롯한 다수의 유럽 정상 역시 무기 공급은 상황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이 때문에 이틀간의 G7 정상회의에서 우크라이나 정부군에 대한 무기 공급이 결정될 가능성은 작아 보인다. 백악관 관리들은 "초점은 러시아에 대한 제재 강화에 맞춰질 것"이라고 전했다.

유럽 정상들도 이번 G7의 논의를 바탕으로 이번 달 후반 별도의 회동을 해 러시아에 대한 제재 지속 여부를 결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