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외교단에 메르스 설명회…"주한외교단, 만족해했다"
![]() |
△ 한국 정부 메르스 대응 설명회 참석 (서울=연합뉴스) 황광모 기자 = 주한 외국대사관의 한 대표가 8일 오후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열린 '한국 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현황과 한국 정부의 대응 조치'에 대한 브리핑에 마스크를 쓰고 입장하고 있다. 이 브리핑에는 78개국의 주한 대사관 대표들이 참석했으며, 정부에서는 외교부, 보건복지부, 민간 감염전문의가 참석해 한국의 메르스 대응 상황에 대해 설명했다. |
"공기감염 안되나?"…주한외교단 우려·궁금증 쏟아내(종합2보)
"외국인 핫라인 개설해달라…정부·지자체 목소리 달라"
주한외교단에 메르스 설명회…"주한외교단, 만족해했다"
(서울=연합뉴스) 김효정 기자 = 정부가 8일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에 대한 국제적 우려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주재 각국 외교관을 초청해 설명회를 열었다.
메르스 확산 사태가 벌어진 이후 정부가 주한 외교단 전체를 상대로 공식 설명하는 자리를 가진 것은 처음으로, 메르스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나친 우려를 불식하기 위해 마련됐다.
외교부와 메르스 대응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가 이날 오후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개최한 설명회에서 주한 외교단은 각종 우려와 궁금증을 쏟아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 당국자에 따르면 메르스의 빠른 확산에 "공기 중 감염을 의미하는 것 아니냐", 같은 맥락에서 "에어컨을 통해서도 감염되는 것 아니냐"는 질문이 나왔다.
그러나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국회 긴급현안질문에서 "메르스는 병원 감염의 문제로 결코 공기감염이 아니다"며 공기 감염을 부인했다.
"경보 수준을 왜 '주의'로 유지하고 있느냐", "WHO(세계보건기구)에서 방문하는 것은 무슨 의미를 갖는 것이냐", "중앙정부와 지자체 목소리가 좀 다른 것 같다", "국내 거주 외국인을 위한 메르스 '핫라인'을 개설해달라" 등의 목소리도 나왔다.
외국인 확진 환자가 나왔을 경우 해당 대사관으로 신속히 통보를 해달라는 주문도 있었다.
한 중동국가의 외교관은 설명회 직후 연합뉴스 기자에게 "오늘 설명회를 만족스럽게 생각한다"면서도 "그동안 '밖에 나가지 마라'는 등의 얘기에 큰 두려움을 갖고 있었다. 이런 공식적 설명이 좀 더 일찍 있었으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약 2시간에 걸친 설명회에는 권덕철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과 엄중식 한림대병원 감염내과장이 현재 국내 메르스 발병 현황과 정부의 대응 노력 등에 대해 브리핑했다.
이기철 외교부 재외동포영사대사는 인사말을 통해 "저는 이 질병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고 한국·미국·네덜란드가 진행한 (바이러스 변이 여부에 대한) 샘플 분석에 대해 진전된 정보를 접할수록 과거에 했던 걱정이 대부분 저의 오해에 따른 근거 없는 것이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됐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 정부는 이 병과 싸우려는 강한 의지를 갖고 있다"며 "한국은 가까운 미래에 이 질병을 성공적으로 극복해낼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특히 이 대사는 "세계보건기구(WHO)는 한국으로의 어떤 여행제한 조치도 권고하고 있지 않음을 다시 한 번 알려 드리고 싶다"고도 강조했다.
이 대사는 메르스 확진을 받은 K씨를 비롯해 한국인을 격리, 보호중인 중국과 홍콩 당국에 감사를 표시하기도 했다.
정부 당국자는 "국내 주재 몇 개 대사관에서 설명을 요구했고, 외국인 관광객이 감소하는 등 국가 이미지와 연관될 수 있어 설명회를 열었다"면서 "주한 외교단이 아주 만족해했고, 고맙다는 반응을 보였다. 상당히 의미가 있었다"고 평가했다.
이 당국자는 주한 외국인을 위한 '메르스 핫라인 설치' 요구에 대해 "보건복지부와 구체적인 상의를 해보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주한 외교단에 메르스 대응 수칙과 전날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발표한 정부 대책 등 관련 자료를 배포했다.
이날 설명회에는 79개 주한 대사관과 7개의 주한 국제기구 등에서 총 120여명이 참석했다.
그러나 이날 설명회가 메르스 우려를 얼마나 불식시킬 수 있을지 현재로서는 장담하기 어려운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여전히 메르스 확산세를 확실히 잡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제사회에서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는 평가다. 실제 한국행을 자제하거나 주의하라는 권고를 자국민에 내리는 국가들도 잇따르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