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기후 韓 주식·채권시장에 250조원 순유입…세계 상위권
한국, 18개국 가운데 3위…미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자금 이탈 우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세계 금융위기 이후 한국 주식·채권시장이 흡수한 외국인 자금이 주요 신흥국 18곳 가운데 3번째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한국을 비롯한 신흥국에서의 자금 유출이 예상되지만 한국은 상대적으로 풍부한 외환보유고 등에 따라 충격이 덜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다.
10일 블룸버그와 교보증권에 따르면 2010~2015년 한국 주식과 채권 시장에서의 외국인 순유입액은 각각 395억달러(44조2천억원), 1천864억달러(208조7천억원)로 집계됐다.
한국 시장으로의 순유입 총액은 2천259억달러(252조9천억원)로 집계 대상 18개국 가운데 이스라엘(1조3천65억달러·1천463조1천억원)과 카타르(4천167억달러·466조6천억원)에 이어 3위에 올랐다.
멕시코(1천498억달러·167조7천억원)와 인도(1천457억달러·163조1천억원), 인도네시아(1천210억달러·135조5천억원), 태국(1천180억달러·132조1천억원)이 한국에 이어 4~7위를 기록했다.
체코(-136억달러·-15조2천억원)가 유일한 순유출 국가로 나타났다.
2009년에 발생한 금융위기 이후 경제살리기에 나선 미국 등 주요국들이 양적완화로 유동성을 풀면서 신흥시장에도 돈이 몰렸다.
5년여간 이어진 신흥국들의 '유동성 잔치'는 올해로 막을 내릴 가능성이 크다.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재닛 옐런 의장이 올해 안 어느 시점에 금리를 인상할 것이라고 밝혔기 때문이다. 시장에서는 오는 9월에 기준금리가 올라갈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미국 기준금리 인상의 세계 금융시장의 변동성을 크게 할 재료다. 특히 한국을 비롯한 신흥시장에서 자금 유출이 예상된다.
국제금융협회(IIF)는 올해 한국 등 신흥국에 대한 투자가 지난 2009년 이후 6년 만에 최저치로 줄어들 것으 전망했다.
IIF는 지난달 말 발표한 보고서에서 채권과 주식, 직접투자 등을 포함한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유입 규모가 지난해 1조500억달러(1천175조원)에서 올해 9천810억달러(1천98조원)로 감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블랙록의 아메르 비삿 펀드 매니저는 "미국 연준이 금리를 올릴 때마다 신흥시장에 심각한 압박이 가해졌다"며 "신흥시장의 대응력이 (이전보다) 나아졌지만, (미국의 금리 인상은) 여전히 큰 충격이 아닐 수 없다"고 강조했다.
신흥시장의 변동성이 커지겠지만 각국이 처한 상황에 따라 충격 정도는 다를 전망이다.
일단 외국인 자금의 순유입에도 평가손실이 발생한 국가들은 금리 인상으로 자금 순유출에 직면할 가능성이 크다. 우크라이나, 러시아, 브라질, 체코,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등이 위험국가로 분류된다.
임동민 교보증권 연구원은 "주식 및 채권에서 시장가치 감소 및 외화평가손실이 생긴 국가가 자본 유출 위험도가 높다"며 "이들 국가는 경기침체와 물가상승이 동시에 이뤄지는 스태그플레이션에 놓인 공통점이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은 경상수지 흑자와 외화보유액, 총외채 대비 단기외채 비중 감소로 금리 인상의 직접적 충격은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의 단기 외채는 2010년 1천400억달러(156조원)에서 2015년 현재 1천153억달러(129조원)로 줄어들었다. 외환보유고도 3천700억 달러(414조원)로 풍부한 편이다.
자금 유출 강도가 다른 신흥국보다 덜 할 것이라는 예상이 많지만 한국이 미국발(發) 긴축의 충격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다.
신흥국의 불안에 따른 금융시장의 변동성 확대에 타격을 받을 수가 있기 때문이다.
금리 인상에 따른 가계부채 문제도 심각해질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행의 잇따른 기준금리 인하로 한국의 가계부채는 폭증세에 있다. 올해 4월에는 가계 빚 증가액이 월간 기준 처음으로 10조원을 넘어서기도 했다.
금융연구원 임 진 박사는 "미국 금리 인상으로 한국 금리도 상승해 가계 대출의 원리금 상환 부담이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