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여 업체에 가짜 ISO인증 발급…속은 업체들 피해 속출
인증대행기관 2곳 적발…국가신인도까지 추락
(부산=연합뉴스) 김선호 기자 = 국제표준화 규격인 ISO 인증서를 국내 업체 수백곳에 허위로 발급해준 일당이 경찰에 적발됐다.
해외 입찰, 납품 경쟁 때 가짜 ISO 인증서를 제출한 사실이 들통나 업체가 피해를 보는 것은 물론 국가신인도마저 추락하고 있다.
부산 영도경찰서는 12일 가짜 국제표준화 인증서를 발급한 혐의(사문서 위조 등)로 외국계 인증대행기관의 대표 K(47)씨와 S모(62)씨 등 7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고씨는 지난해 4월부터 12월까지 자문기관 대표인 L(43)씨 등 2명과 이면 계약을 맺은 뒤 서명을 도용하는 수법으로 140여개 업체에 가짜 심사보고서와 ISO 인증서를 발급해주고 8천여 만원을 받아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송씨 역시 비슷한 시기에 인증 심사원이자 자문기관 대표인 N(60)씨 등 3명과 공모해 같은 수법으로 200여 개의 업체에 1억5천여 만원을 받고 가짜 인증서를 발급해준 혐의를 받고 있다.
ISO 인증제도는 각 분야의 제품이나 서비스가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기준에 부합하는지 검증하는 것으로 입찰, 납품, 신용도 평가 등에서 공신력을 인정받고 있다.
보통 품질경영(ISO 9001), 환경경영체제(ISO 14001) 등의 ISO 인증을 받으려면 관련 시설이나 시스템을 구축한 뒤 원재료 구매에서 생산, 판매에 이른 전 과정에 대한 검증과 확인절차를 거쳐야 한다.
3∼6개월의 시간이 걸리고 발급비용도 업체 성격이나 규모에 따라 수백만원에서 수천만원까지 든다.
하지만 이들은 이런 과정을 모두 생략하고 심사보고서와 인증서를 위조하는 수법으로 불과 2주 만에 건당 50만∼100만원에 받고 인증서를 발급해줬다고 경찰은 전했다.
업체 가운데 일부는 이들의 말에 속아 가짜 인증서를 발급받아 입찰에 참여했다가 피해를 보기도 했다.
국내 한 조선기자재 업체는 30억원 규모의 말레이시아 국영발전소 입찰에 참여했다가 ISO 인증서가 부정발급된 사실이 들통나 입찰 자체가 보류됐다.
이 때문에 같이 신청한 다른 업체도 피해를 봤고, 한국 업체에 대한 신인도가 추락한 상황이다.
경찰은 국제규격화 인증서를 허위로 발급한 사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