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인사관리처 해킹 피해자 최대 1천400만명"
(워싱턴=연합뉴스) 심인성 특파원 = 미국 연방인사관리처(OPM) 전산시스템 해킹 사건의 피해자가 당초 발표보다 훨씬 많은 최대 1천400만 명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 의회전문지 '더 힐'(The Hill)은 12일(현지시간) 복수의 정부 및 의회 관계자들을 인용해 이번 해킹 사건으로 신상 정보가 누출된 전·현직 연방공무원이 900만∼1천400만 명에 달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국토안보부가 처음에 밝힌 숫자보다 최고 3.5배 이상 많은 것이다.
국토안보부는 지난 4일 OPM 전산시스템이 4월 말부터 해킹당해 전·현직 연방공무원 400만 명의 정보가 유출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존 매케인(공화·애리조나) 상원 군사위원장은 전날 기자들에게 "여러 소식통으로부터 '이번 해킹 사건의 피해가 당초 보도된 것보다 훨씬 크다'는 말을 들었다"고 전했다.
앞서 미 연방정부 근로자 노동조합의 J.데이비드 콕스 위원장은 캐서린 아철레타 OPM 소장에게 보낸 편지에서 "해커의 표적은 '중앙인사자료 파일'이었다"면서 군이나 정보기관, 국회의원을 제외한 미국 전·현직 연방 공무원 전원의 신상정보가 해커의 손에 들어갔다고 주장했다.
미 정부는 현재 누가 해킹의 배후인지에는 언급을 삼가고 있으나 미 언론은 정부 관계자들의 말을 빌려 중국 정부와 연계된 해커의 소행이라고 단정해 보도하고 있다. 마이클 매콜(공화·텍사스) 하원 국토안보위원장 등 미 의회 주요 인사들도 중국을 공개로 지목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