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창조경제밸리 올해말 착공…750개 첨단기업 입주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17 10:30:01
  • -
  • +
  • 인쇄
국토부, 마스터플랜 확정…민간주도 '벤처 캠퍼스' 등 조성
2017년 이후 부지별 6개 공간 조성 완료


판교 창조경제밸리 올해말 착공…750개 첨단기업 입주

국토부, 마스터플랜 확정…민간주도 '벤처 캠퍼스' 등 조성

2017년 이후 부지별 6개 공간 조성 완료



(세종=연합뉴스) 이재영 기자 = '판교 창조경제밸리'(창조경제밸리)는 이제 막 걸음마를 뗀 스타트업 기업부터 한 분야에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은 혁신기업까지 기업이 성장하는 단계에 맞춘 공간들로 조성된다.

국토교통부는 17일 오전 열린 제12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판교 창조경제밸리 마스터플랜'을 확정한다고 이날 밝혔다.

창조경제밸리는 경기도 성남시 '판교 테크노밸리' 인근 도로공사 부지와 개발제한구역 등 43만㎡에 국가 지정 도시첨단산업단지로 조성된다. 부지 조성과 건축에 약 1조5천억원이 투입된다.

마스터플랜이 확정됨에 따라 올해 말 공사에 들어가 일부 지역은 2017년 하반기 운영을 시작한다.

국토부, 산업통상자원부, 미래창조과학부 민관합동 창조경제추진단, 경기도 등으로 구성된 태스크포스(TF)가 전문가 자문과 벤처기업협회 등의 아이디어를 받아 마련한 이번 마스터플랜을 보면 창조경제밸리는 6개 공간으로 구성된다.







◇ 도공 부지 동측, 스타트업 기업 위한 '창조공간'

도로공사 옛부지 동측은 '창조공간'으로 이름 붙여졌다. 2만㎡에는 건물 4개동, 연면적 9만㎡ 규모의 '기업지원허브'가 들어선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창업 존(Zone)', '혁신기술 존', 'ICT(정보통신기술)-문화 융합 존', '교류·지원 존' 등 4곳을 건설한다.

창업 존은 창업기업 200여개가 최대 3년간 실비 수준의 임대료(시세의 20%)를 내고 입주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곳에 입주하는 기업에 대해서는 중소기업청이 '원스톱 창업지원서비스와 창조경제밸리펀드로 조성한 투자자금 등을 지원한다.

혁신기술 존에는 사물인터넷(IoT), 핀테크(Fintech), 고성능 컴퓨팅(HPC), 정보보안 등 첨단 ICT 기술을 시험해볼 수 있는 테스트베드(시험환경)와 오픈랩, 체험·전시 공간이 만들어진다.

ICT-문화융합 존에는 가상·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게임 등 ICT와 문화·예술을 융합해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수 있는 창작·개발공간 등이 조성되고 교류·지원 존에는 기업들을 법률, 회계분야에서 지원할 기관들이 들어온다.

국토부는 특히 기업지원허브에 대해서는 지구지정, 단지설계, 단지조성, 건축설계 등을 동시에 진행하는 '패스트트랙(FastTrack)' 방식을 적용해 2017년 8월에 문을 열도록 할 방침이다.



◇ 도공 부지 서측, 시세 70∼80% 가격 업무공간 조성

도로공사 옛부지 서측은 '성장공간'으로 명명됐다. 이곳에는 3만㎡ 부지에 연면적 14만㎡ 규모로 LH가 건물 1개동, 경기도시공사가 3개동을 지어 '기업성장지원센터'를 만든다.

기업성장지원센터는 창업 후 3∼4년이 지난 기업 약 300개가 시세의 70∼80% 가격에 이용하는 업무공간이다. 임대료는 3.3㎡에 월 3만원, 분양가는 3.3㎡에 700∼800만원 수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는 이곳에 벤처·신기술·신제품 인증기관, 투자유치를 지원하는 시설 등도 입주시킬 계획이다. 기업들의 입주는 2017년 10월 가능할 전망이다.

성장공간에는 특히 LH가 200가구, 경기도시공사가 300가구의 행복주택을 건설한다. 행복주택은 입주기업 직원들에게 우선 공급된다. 신혼부부 등을 위해 300명 규모의 어린이집도 설립된다.



◇ 도공 부지 중심부에 '마이스(MICE)' 시설 설치

도로공사 옛부지 남측은 '글로벌공간' 중심부는 '소통교류공간'이 된다.

글로벌공간에는 기업들의 외국 진출을 지원하는 시설이나 국내외 유수 대학의 다양한 학과들이 참여하는 공동 캠퍼스 등이 입주할 '글로벌 비즈(Biz) 센터'가 1만㎡ 부지에 연면적 4만㎡ 규모로 들어선다.

또 글로벌 비즈 센터 인근 6만㎡에는 ICT 관련 국내외 기업들을 유치해 산·학이 기술을 교류할 수 있도록 한다.

소통교류공간에는 3만㎡ 부지에 연면적 7만7천㎡ 규모로 '아이스퀘어(I-Square)'가 조성된다. 아이스퀘어는 콘퍼런스나 전시회를 열 수 있는 마이스(MICE) 시설, 레지던스, 오피스텔, 상업·문화시설, 광장 등으로 구성된다.

아이스퀘어는 공모를 통해 선정된 민간사업자가 감정가로 토지를 받아 개발한다. 국토부는 아이스퀘어 개발로 발생하는 이익을 다른 공공시설 건설에 투입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또 지하로 신분당선이 지나가는 소통교류공간에 가칭 '창조밸리역'을 설치하기 위한 기술적 검토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 개발제한구역에 민간이 '벤처 캠퍼스' 조성

도로공사 옛부지와 경부고속도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한 개발제한구역(GB)에서는 민간사업자 주도의 개발이 이뤄진다.

GB 동측 6만㎡에는 민간 컨소시엄 3곳이 각각 2만㎡의 땅을 분양받아 '벤처 캠퍼스(벤처공간)'를 만든다. 토지는 조성원가에 'α'를 더한 적정가격으로 공급된다.

컨소시엄들은 자신들이 만든 벤처 캠퍼스의 70%를 업무공간으로 쓸 수 있게 된다. 나머지 30%는 자신들의 사업과 관련된 스타트업 기업을 육성하는 공간으로 써야 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벤처 캠퍼스에는 창조공간만큼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 기업이 입주하기는 어렵지만 이제 막 만들어진 기업이 같은 분야의 '선배' 기업을 보고 배울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GB 서측 8만㎡에는 혁신기업들이 용지를 분양받아 개별적으로 공간을 건축해 입주하는 '혁신타운(혁신기업공간)'이 조성된다.

국토부는 미래에 새로운 산업을 창출할 선도기술을 가진 기업이나 연구소를 공모 방식으로 선별해 유치할 계획이다.

벤처 캠퍼스와 혁신타운에 기업들이 입주하는 시기는 2018년 이후가 될 전망이다.



◇ "750개 첨단기업에 4만명 근무 기대"

창조경제밸리 전체에는 IoT 전용망이 구축된다. 창조경제밸리 기업에 종사하는 노동자들과 방문객에게는 각종 안내와 회의장·주차장·주거·보육·일자리 등과 관련한 생활정보가 통합 제공된다.

국토부는 현재 건설 중인 '제2외곽순환고속도로'에 창조경제밸리로 이어지는 나들목을 설치하는 등 교통체계를 개선해 인천국제공항까지는 1시간, 서울 강남지역까지는 20분 안에 갈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창조경제밸리에 창업기업 300개, 성장기업 300개, 혁신기업 150개 등 750개 기업이 들어와 약 4만명이 일하게 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창업 존이나 벤처 캠퍼스에 입주하는 창업기업들은 3년 정도의 기간이 지나 기업이 성장하게 되면 해당 입주공간에서 '졸업'해 나가도록 유도할 방침이다.

이런 방식을 통해 창조경제밸리 조성 이후 10년간 1천개 이상의 창업기업이 창조경제밸리를 거쳐 갈 것으로 국토부는 예상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창조경제밸리 조성이 완료되면 판교는 테크노밸리와 창조경제밸리를 합쳐 1천600개 첨단기업에 10만명이 근무하는 첨단 클러스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