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한일협정 보상내용 공개하라 (서울=연합뉴스) 한종찬 기자 = 한일수교 50주년을 맞은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아시아태평양전쟁희생자한국유족회 주최로 열린 한일협정 보상내용 공개촉구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
태평양전쟁유족 "한일협정 부당…강제징용 피해자에 보상해야"(종합)
"한일협정 해석차가 갈등 핵심, 문서 전면공개하라"
(서울=연합뉴스) 설승은 기자 =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유족들이 한일회담 50주년을 맞아 당시 맺어진 한일협정의 부당함을 지적하고 피해자들에게 보상하라고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잇달아 열었다.
아시아태평양전쟁희생자한국유족회 등 관련 단체 5곳은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한일이 과거사를 청산하지 못하고 갈등을 반복하는 것은 한일협정에 대한 해석 차이 때문으로 협정 문서를 모두 공개하라"고 촉구했다.
유족회는 "1965년 한일협정은 전후 배상문제보다는 양국 간 경제 논리에 따라 협상이 이뤄져 지금까지 한일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며 "이 때문에 강제징용 피해자들도 피해 배상에 대한 권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 단체는 "일본 외무성은 한일회담 관련 문서의 공개를 줄곧 거부해오다 정보공개법에 따라 2005년 일부분을 공개했지만 대일 청구권 문제나 독도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판독할 수 없도록 먹칠해 공개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일본은 한일협정 문서를 전면 공개해 협정 당시 한국에 건넨 8억 달러가 경제협력 자금인지 대일 개인청구권 자금인지를 밝히라"며 "식민지배 행위에 대한 사과와 더불어 일본 은행에 예치돼 한국에 주지 않은 노임 공탁금도 반환하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견에는 단체 관계자 250명(경찰 추산)이 참석했다. 이들은 기자회견 후 이런 요구를 담은 성명서를 청와대 민원실을 통해 전달했고, 일본대사관 측에도 전할 예정이다.
또한 이날 오후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 등 관련 단체 2곳이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한국 정부는 잘못된 한일협정을 파기하고 재협상해야 할 것"이라며 "일본 정부는 한일 과거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피해자에게 사죄 및 보상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또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도 일본에 강제징용 희생자 문제를 해결하라고 촉구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견에는 소복을 입은 회원 100여명이 자리했다.
유족회는 기자회견 후 피해자 1천여명의 명단이 포함된 보상 요청서를 일본 대사관에, 양순임 회장의 친필 서한을 미국 대사관에 전달했다.
이들은 이후 청와대에 한일 과거사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제출하고, 이달 말 임원희 사무총장 등 유족회 관계자 10여명이 일본으로 떠나 일본 정부에 직접 문제 해결을 촉구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