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로자 파업에 놀란 베트남, 연금개혁 '원점으로'
(하노이=연합뉴스) 김문성 특파원 = 재정 고갈을 막기 위한 베트남의 연금제도 개혁 계획이 근로자들의 반발에 원점으로 돌아갔다.
23일 현지 언론에 따르면 베트남 국회는 전날 근로자가 실직 1년 뒤에 연금을 한꺼번에 받는 방안과 정년 이후 매달 받는 방안 가운데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사회보험법 개정안을 의결했다.
애초 베트남 정부는 내년 1월부터 퇴직 근로자에게 연금을 일시금으로 주는 현행 제도를 없애고 정년(남성 60세, 여성 55세)이 됐을 때 지급하는 방식으로 바꿀 계획이었다.
그러나 정부의 이런 계획은 "실직 후 연금을 한꺼번에 받을 기회가 사라져 생활고를 겪게 된다"며 반발하는 근로자들의 반발에 부닥쳤다.
지난 3∼4월 베트남 남부도시 호찌민에 있는 대만계 신발업체 포우유엔의 근로자 수천 명이 파업에 들어간 것을 시작으로 다른 기업으로 파업이 확산할 움직임을 보이자 정부가 보완책 마련을 약속했다.
당시 한국계 의류공장에서도 파업이 벌어져 연금제도 개편 문제가 베트남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중요한 관심사였다.
결국, 현행 제도의 유지로 근로자들의 반발은 가라앉았지만 사회보장기금은 오는 2021년부터 적자에 빠질 것으로 전망됐다.
이에 따라 베트남 정부는 그 이전에 사회보험제도의 개편을 다시 추진할 계획이지만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